로마사 현대지성신서 11
프리츠 하이켈하임 지음, 김덕수 옮김 / 현대지성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본서는

1962년 프리츠 M. 하이켈하임과 세드릭 A. 요가 공동집필한 로마사를

1984년에 세드릭 A. 요와 앨런 M. 워드가 개정한 책이다.

(원제 :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로마인민의 역사))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를 시작으로 로마사를 주제로한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으나, 학문적인 토론과 검증을 거친 제대로된 로마사 연구서는 드물었다.

본서는 1962년부터 미국의 대학생들에게 로마서 교재로 사용되었고,

1968년 하이켈하임 사후 연구성과들까지 반영하여,

초판의 정치,경제사 위주의 내용은 사회, 문화사 내용까지 추가되었다.

그리고 전공자나 심화 학습자를 위해 당대 사료들의 해설이 42개장 중 17장에서 제공되었다.

 

고려대 김경현 교수는 몇몇 번역상의 오류가 있다고 하나

(개인적으로도 p49에서 포카이아를 페니키아로 표기한 오류를 찾았다. 영문판에도 오기되어 있었는지는 영문판을 보지 않아 알 수 없지만, 당시 카르타고&에트루리아 적수였던 마실리아는 페니키아인의 식민지가 아닌 그리스 포카이아인의 식민지가 맞다)

사료해설, 고고학 자료 제공,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로마사 각 분야에 걸쳐

선사 시대 이탈리아부터 유스티니아누스 대제까지의 시대까지

다루는 최고의 로마 통사임에는 틀림없다.

 

한국에서는 1999년 발행되었으나, 이후로도 수 많은 사람들에 의해 로마사의 기준통사로 사용되었다. 그 만큼 로마사회 각 분야를 다루면서, 가장 최근 성과도 반영된 책이기 때문이다.

 

대신 대학교재로 쓰여진 만큼 다른 책들보다 읽기 쉽지 않다는 점이 입문자에게는 문제로 지적되지만, 책의 균형감각, 검증된 연구결과 등으로 한 권으로 된 최고의 로마통사로 꼽힌다.

 

누군가 1권으로된 제대로된 로마사를 추천해달라고 한다면, 주저없이 본서를 추천할 것이다.

책을 읽고 나면 로마사에 대한 이해의 지평이 넓어진 것을 확실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로마사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일독을 권한다.

 

ps) 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책의 차례를 제공해본다.

 

로마사(원제 : A History Of The Roman People(로마인민의 역사)) - 프리츠 M. 하이켈하임, 1999년, 현대지성사

 

머리글 : p19

 

제1부 로마 이전 시대의 이탈리아와 로마의 등장
1. 초기 로마와 이탈리아의 토대  : p23
2. 로마 이전 시대 이탈리아의 에트루리아인들과 그리스인들 : p34
3. 초기 로마 (기원전 750~500) : p55
4. 초기 로마의 사회 구조, 종교, 가치관 : p 79
5. 로마 공화정의 대두 (기원전 509~287) : p103
6. 로마의 이탈리아 정복 (기원전 509~264) : p139

제2부 로마 공화정의 전성기
7. 로마 제국주의의 시작과 제1차 포에니 전쟁 (기원전 264~241) : p167
8. 전쟁과 전쟁 사이 (기원전 241~218) : p187
9. 제2차 포에니 전 (기원전 218~201) : p203
10. 헬레니즘 세계 동방에서의 전쟁과 제국주의(기원전200~133) : p223
11. 서방에서의 로마의 제국주의 (기원전 200~133) : p247
12. 전쟁과 제국주의가 로마의 국내 정세에 끼친 영향 : p261
13. 로마의 문화 (기원전 300~100) : p292

 

제3부 공화정 후기
14. 그라쿠스 형제와 농지 개혁을 둘러싼 투쟁 (기원전 133~121) : p313
15. 체제의 붕괴 (기원전 121~88) : p336
16. 마리우스와 술라: 내전과 반동 (기원전 88~78) : p364
17. 개인의 야심과 국가의 위기 (기원전 78~60) : p382
18. 카이사르의 등장 (기원전 60~52) : p419
19. 카이사르의 승리와 몰락 (기원전 50년대 중반~44) : p436
20. 공화정의 마지막 날들 (기원전 44~30) : p463
21. 공화정 후기의 생활고 문화 (기원전 100경~30경) : p496

 

제4부 초기 로마 제국
22. 아우구스투스의 원수정 (기원전 29~서기 14) : p537
23. 아우구스투스가 벌인 체계적인 개혁 : p556
24. 아우구스투스 치하의 제국의 안정 : p574
25.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생활과 문화 : p589
26.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가의 처음 두 황제: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 : p613
27. 클라우디우스, 네로, 그리고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가의 종말 : p638
28. 원수정의 위기와 플라비우스 가 황제들 치하에서의 회복 (서기 69~96) : p661
29. 오현제 (서기 96~180) : p682
30. 서기 첫 두세기의 로마 문화와 사회 : p741

 

제5부 로마 제국의 변형과 해체
31. 세베루스 가 황제들 치하에서의 위기와 일시적 회복 (서기 180~235) : p761
32. 제3세기의 무정부 상태 (서기 235~285) : p795
33.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전제정 치하에 이루어진 제국의 재편 (서기 284~305) : p817
34. 콘스탄티누스 대제와 그리스도교 (서기 305~337) : p837
35. 콤모두스에서 콘스탄티누스에 이르는 시대의 생활과 문화 (서기 180~337) : p860
36. 콘스탄티누스의 왕조부터 테오도시우스 대제까지 (서기 337~395) : p884
37. 서방의 상실 (서기 395~493) : p902
38. 살아남은 동방 (서기 395~518) : p926
39. 유스티누스와 유스티니아누스의 독재정 확립 (서기 518~532) : p939
40. 이룰 수 없었던 보편 제국의 꿈 (서기 532~565) : p957
41. 후기 로마 제국의 생활과 문화 (서기 337~565) : p977
42. 로마 멸망의 문제 : p999

 

부록
역대 로마 황제 : p1011
로마서 연대표  : p1013

역자 후기  : p10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