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전자 인류학 - 유전자를 타고 가는 시간여행
존 H. 릴리스포드 지음, 이경식 옮김 / 휴먼앤북스(Human&Books)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유전자학을 통해 인류학적 의문을 풀어보기 위해 씌어졌다.
이는 보통 생물학적 인류학이라 불리기도 하고,
주로 Y-염색체(Y-DNA : 부계로만 유전) 하플로그룹과 미토콘드리아 DNA(mtDNA : 모계로만 유전) 하플로그룹과 기존의 고고학과 인류학 연구성과를 반영하면서 인류의 역사를 규명한다.
저자인 존 H. 릴리스포드 교수는 이런 어려운 주제를 연대기 순으로 흥미있는 주제들을 선정하여
알게 쉽게 설명하며, 학계의 의견을 설명하다 장의 말미에 자신의 견해를 조심스레 밝히면서, 유전자 분석을 통한 인류학의 이해를 도와준다.
보통 이런 책이 딱딱하고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저자는 놀라운 솜씨로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책을 읽게 만든다.
(특히 네안데르탈인 이야기, 망망 대해인 태평양에서 카누를 통해 인류가 퍼지는 모습, 유럽의 기원 등의 주제들)
이 책을 읽고 나면
우리의 조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복잡한 유전적 계보를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 보통 조상은 다른 조상과 얽히지 않고 하나의 선을 가진 단일 혈통이란 것이 오류이고,
언어적 거리와 유전자의 거리가 같지 않다는 것도 밝힌다)
유전자 조상과 문화적 동질성은 다른 것이며, 유전자학을 통해 인류라는 종의 과거를 더 자세히 밝힐 수 있음을 알게 해준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이전의 골상학이나, 피부색이나, 화석을 통한 고고학이나, 문헌 기록으로 밝힐 수 없던 비밀까지 밝혀준 유전자 분석을 통한 인류의 기원에 대한 쉽고 적절한 입문서이다.
(유전자 부동이나 인류의 아프리카 기원 등 여러 쟁점에 대해 입장을 달리하는 서적들도 물론 있다. 저자는 이에 대해 독자들이 오해 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모습을 보여주어 더욱 책이 마음에 들게 되었다.)
PS) 저자가 논한 주제들 요약
2장 털 없는 원숭이
아프리카 원숭이에서 인류의 진화(인류 분화 400~500만년 전)를 설명하면서 해부학과/유전자학의 관계와 종의 분류 체계에 대해 논함
3장 당신의 조상이 어디에 있는지 아십니까?
인류의 아프리카인 대체설(아프리카에서 퍼져서 타지역의 종 대체)과 다지역 기원설(지역마다 종이 있으나, 종간 섞임)에 대해 논함.
미토콘드리아 이브, Y염색체 연구, 유전자 부동(개체군 적을 수록 유전자 다양성 떨어짐, 특정 유전인자가 후손에 전해지지 않는 원인), 미토콘드리아 DNA를 통해
저자는 고대인류에서 현대인류 최초 변화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했고, 이 인류가 타 지역으로 퍼졌고,
아프리카에서 퍼진 인류가 타지역 종을 완전 대체했다기 보다는 아프리카에서 퍼진 인류를 바탕으로 다른 조상이 섞인 것을 설명하였다.
4장 네안데르탈인의 운명
네안데르탈인과 현대 인류의 관계(2만 8,000~15만 년 전)에서
네안데르탈인이 현대 인류에게 멸종당한 것인지, 현대 인류와 섞인 것인지에 대한 학계의 2가지 의견을 논하면서
저자는 유전자와 화석특징을 통해 네안데르탈인이 현대 인류에게 멸종당한 것이 아니라 서서히 흡수되어 사라졌다고 생각한다.
(네안데르탈인의 특징은 아주 조금만 남았다고 본다)
5장 지우고 다시 써넣는 과거의 기록들
고적적 유전자 표시자였던 혈액형, 혈액 당백질, 혈액 효소등의 인류 변이 측정 방법을 소개하고
분자유전자학의 발달로 사용된 DNA 연구 방법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대립형질 빈도를 통한 유전자 거리 분석을 소개하며, 지리적 위치와 유전자 거리가 밀접하나 절대적이지는 않다고 이야기한다.
오히려 개체군간 차이가 적고, 개체군내 유적적 다양성이 더 크다는 것을 알린다.
그리고 후에 논할 개체군 거리에 따른 유전자의 영향으로
동남아 기원인 태평양 주민들과, 동북아 기원인 아메리카 원주민 이야기를 잠깐 꺼낸다.
6장 최초의 아메리카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원(1만 5,000년~2만 년 전)을 찾기 위해 고전적 유전자 표시 외에 미토콘드리아 DNA 이용하여 분석한다.
아메리카 원주민은 기본적으로 현대인류였고,
A,B,C,D,X란 이니셜로 대표되는 단일 유형을 가졌다고 한다.
A,B,C,D는 거의 동북아 개체군에서만 나오며
X는 주로 유럽 개체군에서 나온다.
그러나 바이칼호 부근의 종족에게서 X 개체군이 나와서,
A,B,C,D,X를 가진 바이칼호 개체군으로 대표되는 동북아 개체군이 베링해협을 통해 아메리카로 건너가 아메리카 원주민이 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현재 베링 해협 부근 척치족과 에스키모는 A,C,D만 가지고, 바이칼호 부근 개체군은 다 가짐,
척치족과 에스키모는 유전자 부동으로 B,X가 사라진 것으로봄)
미토콘드리아 DAN, Y 염색체 유형 분석을 통한 이주의 횟수에 대한 논쟁을 소개하면서
신대륙 이주 시기는 1만 5천 ~ 2만년 사이이며, 횟수는 2~4회라는 주장이 있다고 알려준다.
보통 조상은 다른 조상과 얽히지 않고 하나의 선을 가진 단일 혈통이란 것이 오류라는 것도 알려준다.
7장 선사시대 유럽 : 농경문화가 퍼져나간 것일까, 농부가 퍼져나간 것일까?
농경은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나, 유럽은 서남아로부터 확산되었다(6,000년~1만 년 전)
문화만 확산된 것인지, 개체군까지 같이 확산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을 통해
아래와 같은 유럽의 유전자 주요 인자 분석 결과를 소개한다.
1차 인자 결과(농사) 서남에서 동으로 이동 확인 (유럽 유전자의 65%의 기원)
2차 인자 결과(빙하기 끝나고 따뜻한 곳으로) 이베리아에서 다른 곳으로 이주 (22%의 기원)
3차 인자 결과(쿠르간 문화 전파, 기마) 1차인 농사와도 연관되는데 이는 11%의 기원
언어의 거리는 유전자와 일치 하지 않기도 한다.
4차 인자 결과(로마 제국 : 내 생각엔 조금 틀려보이지만)는 7%의 기원
5차 인자 결과(바스크족 고립으로 대표되는 유전자 고립)은 5%의 기원
그리고 유전자 거리와 지리적 분포가 상이한 것은 문화적 장벽으로 불연속 성이 발생할 수도 있음을 보인다.
결국 유럽은 여러 요소로 유전자가 팽창,소멸했으나, 언어의 차이로 대표되는 문화적 장벽으로 유전자 거리가 유지하거나 높아진다는 것을 밝힌다.
8장 태평양으로의 항해
태평양의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을 논함 :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기원, 오스트로네시아와 멜라네시아 섞임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 9염기쌍 삭제(폴리네시아 모티브)로 폴리네시아와 인도네시아의 관계 있음 규명.
Y 염색체 변이로도 폴리네시아와 멜라네시아 밀접한 관계 증명
폴리네시아 모티브는 1만 7천년전 인도네시아 동쪼게서 나타나고 오스트로네시아 어족 확장으로 폴리네시아로 확산됨
오스트로네시아의 확장 시 멜라네시아와 유전자 혼합됨.
미토콘드리아 DAN가 아시아 기원, Y염색체가 멜라네시아 혼합 기원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도 논함 (크게 2차에 걸친 이주)
쥐를 통해서도 확산을 논함
유전자로 돌아본 인류의 확장과 환삭, 개체군의 상호 소통, 인구 증가와 문화로 인해 새로운 유전자 조함이 나선 것을
폴리네시아의 기원을 통해 이야기한다. 다윈의 표현처럼 온갖것이 뒤엉킨 역사로써...
9장 아일랜드에서 온 세 개의 이야기
아일랜드 나그네는 아일랜드인과 유전자는 같고 문화가 다르고
아란 군도는 유전자는 영국이나 문화는 아일랜드일 것을 밝히며
부연설명으로 아일랜드 서부,중부,동부의 유전자 차이를 역사적 사건을 통해 밝히며
(신석기 이주, 잉글랜드/웨일즈인 이주, 바이킹 침입)
문화와 유전자의 상호 작용에 대해 이야기한다.
10장 혼합, 역사, 그리고 문화적 동질성
유전자 혼합과 문화에 대해 논하며
멕시코 틀락스칼라 지역사람들을 통해 유럽남성과 원주민 여성 후손을 밝히고
아프리카 출신 미국인((400년 전 시작)을 통해 도시가 시골보다 유럽 혼합율이 높으며
유럽남성과 아프리카인 여성의 혼합을 밝히고
토마스 제퍼스이 자기 노예의 자식들의 아버지인가라는 논쟁을
Y염색체 분석을 통해 이야기한다. (결론 : 첫째는 그 집안과 상관 없고, 둘째는 그 집안의 자식이나 아버지가 누군지는 모른다)
그리고 문화집단이 유대인 개체군은 공통 조상을 가지고, 약간의 혼합이 있으나 미미하고,
중동의 다른 민족과 유전자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보아 모두 셈족에 기원이며,
에티오피아 유대인의 유전자의 상이를 보여주면서, 유대인은 문화집단임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
(남아공의 렘바족의 부계 조상의 40%가 셈족이라도 유대인이 아닌 것도 근거로 보여줌)
그리고 유대인은 이스라엘, 레위, 코헨(제사장 집안)으로 나누는데, 코헨이 제일 단일 유형 유전자 비율 높음을 ㅣ야기한다.
멕시코인, 아프리카 출신 미국인, 유대인의 3가지 경우를 통해
실제 유전자 조상이 누구인지와 유전자 조상과 문화적 동질성은 다른 것이라는 것을 밝히며
우리 조상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복잡하며, 유전자학을 통해 인류하는 종의 과거를 알려준다는 것으로 책을 마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