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티 리포트 필립 K. 딕의 SF걸작선 1
필립 K. 딕 외 지음, 이지선 옮김 / 집사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나는 SF소설의 매니아도, 필립 K.딕 애호가도 아니다.그저 그의 원작을 각색한 영화들-'블레이더 러너', '토털리콜'등을 통해 그의 이름을 알고 있을 뿐.그의 소설을 직접 읽은 것도 처음이다.번역이 되었으니까 본 것일 분이다.'마이너리트 리포트'가 대단한 마케팅비용을 들이면서헐리우드에서 하나의 '상품'으로 출현한 점도책을 사게 만든 동기일 것이다.하지만 나는 아직 영화로서 '마이너리티 리포트'를만나보지는 못했다.확신하건대, 영화로서의 '마이너리티 리포트'와 소설로서의 '마이너리트 리포트'는 엄연히 다를 것이다.사실 나는 이 짧은 단편집을 읽으면서어떻게 이 표현하기 어려운 사고를 시각화할 수 있을지의문이 들 정도였다.

왜냐하면 나에게 필립 K.딕의 이 소설집은SF 소설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소설이라는 느낌에 가까웠기때문이다.그저 일반적인 소설과 차이가 있다면 미래사회에대한 상상력과 그와 연관된 장치들이주소재를 이룬다는 차이 정도뿐이었다.따라서 나는 단편집 중에서 '물거미'가 가장 중요한 글이라고 생각한다.직접적으로는 예지자로서의 SF작가에 대한 비유가 있다.그들은 미래의 '발생가능한' 사건들을 '미리' 보여준다.달리 말하면 이야기꾼으로서의 소설가의 역할인 셈이다.우리가 미래를 알 수는 없는 작품속 예지자인 폴 앤더슨이 미래로의 시간여행 과정에서주머니 속에 가져온 '기록의 흔적들'.이는 SF작가의 역할에 대한 필릭 K. 딕의 주관일지도 모르겠다.그렇기 때문에 SF소설, 특히 필릭 K. 딕의 소설을'미래로의 시간여행'이라는 테마로 설명하기는힘들지 않을까 생각한다.따라서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 없는지를 말하는 것은의미가 없어 보인다.

오히려 그가 소설속 장치로 제시했던'스위블' '타임드레저' '항상성 로봇' '퍼키 팻' '블로벳' 등이중요해 보인다.인간의 감정과 이성, 기억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스위블'시간이동 장치인 '타임드레저'통제장치로서의 '항상성 로봇'[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나오는 예지자들의 예지를분석해 범죄를 예상하는 분석기구과거의 추억을 연상시키게 하면서도 진화하는 '퍼키 팻'인간의 형질전환을 시사하는 '블로벳' 등등이 말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그는 기술발전과그 과정에서 출현하는 여러 기술장치들과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사유를 끈질기게 사유하는작가라고 할 수 있어 보인다.

그러나 내가 보기에 필릭 K. 딕에게 재미있는 것은그의 모든 글은 '결론이 없다'는 점이다. 이는 그가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소설가에 가깝다는 말이다.그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철학적' 사유만큼이나소설가로서의 필릭 K. 딕에 대한 분석이 나에게는 의미있어 보인다.그리고 내게는 아직 그의 걸작선 2편이 남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