뱃속 마을 꼭꼭이
안나 러셀만 지음 / 현암사 / 199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내 딸에게 있어 밥먹는 일은 심상챦은 일이 되어 버렸다. 뱃속‘정거장’에서 부지런히 일하는 <뱃속마을 꼭꼭이> 때문이다. “엄마, 내가 이 콩나물 먹으면 꼭꼭이들이 잘 부술까?” “엄마, 꼭꼭이들은 채소를 부수는걸 좋아해? 아님, 과자 부수는걸 좋아해?” “내가 잘 씹어서 꼭꼭이들이 부수기가 쉬워졌을까?"  음식 하나하나 먹는 것이 뱃속에서 음식 내려오기를 기다리는 꼭꼭이 덕분에 신경이 쓰이고 아울러 신기한 모양이다.  마치 책의 누리 뱃속 꼭꼭이들의 분주한 모습이 자신의 뱃속에서 그대로 재연되는 듯한 상상력으로.  그도 그럴것이 책은 꼭꼭이의 존재와 하는일들을 상당히 사실적이면서도 꽤나 이해하기에 익숙하도록 설득력있고 재미있게 그려 놓았더랬다.  

음식없는 허한 빈 뱃속에서 잠을 청하는 꼭꼭이. 그러다가 배고픈 누리가 갑자기 허겁지겁 먹어대는 통에 씹지도 않고 삼킨 큰 음식 덩어리들. 한꺼번에 벼락같이 떨어지는 소낙비 같은 음식들.  모여든 누리 뱃속 꼭꼭이들이 부수는 것이 여간 힘든게 아닌듯하다.  게다가 누리가 차가운 초콜릿 음료수를 먹었는지, 금방 얼어붙은 뱃속마을.. 더 이상 일을 못한다고 시위하는 꼭꼭이들.  덕분에 누리는 배탈이 나고 말지만 다행히 따뜻한 물도 마시고 배를 따끗하게 하여 꼭꼭이들도 부지런히 음식을 다시 부수고 작은 창자에서 큰 창자까지 실어나르고 그 와중에 영양분을 핏줄로 호스를 통해 날라주고.. 하는등의 일을 무사히 마치게 되었다.

내 아이는 이제 어렴풋이 알게 되었다. 밥을 너무 급하게 많이 그리고 씹지 않고 먹으면 뱃속 꼭꼭이들이 음식을 부술수도 없고 위험해지는 거라고. 그럼 우리 배도 배탈이 나는 거라고. 씹지 않고 삼킨 딱딱한 음식 덩어리는 때론 꼭꼭이의 머리에 맞아 기절시킬수도 있다는 것을.  젤리나 사탕은 정말 끊어지지도 부숴지지도 않아 꼭꼭이를 힘들게 한다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방 주사 무섭지 않아 - 그림책은 내 친구 내 친구는 그림책
후카이 하루오 글 그림, 이영준 옮김 / 한림출판사 / 199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방주사를 맞지 않으면 벽이며 전등이며 천정이며 집안의모든것들이 괴물로 변하고, 예방주사를 맞지 않아 병에 걸린것이여서 더 큰 주사기로 주사를 맞아야 한다는 지극히 강박적인 이해수준을 떠나, 난 그저 이 책이 재밌을 따름이다. 동글동글 귀여운 눈을 가진 사람들과 아이들이며, 큰 주사기 앞에서 이러저리 도망다니는, 게다가 덩치에 맞지 않게 나무,다리 밑에 숨어있는 거인 아저씨며, 주사를 놓으려고 거인 아저씨를 쫓아다니는 의사를 포함한 쬐그만 사람들이며, 더 재밌는 것은 큰 주사를 한 대 맞는 대신 ‘모기가 살짝 무는’ 느낌 정도의 작은 주사 열 대를 맞으며 씨익 웃는 우스꽝스런 거인 아저씨...

만화같은 상상력에 만화같은 그림을 보는 재미가 남다른 책인 것 같다.

또한 내 딸의 사랑을 받는 인기 1순위에 오른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앵무새 열 마리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70
퀸틴 블레이크 글, 그림 | 장혜린 옮김 / 시공주니어 / 199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같은 책이 하나 있다. 그 만화같은 요소들이란 삽화 같은 느낌의 그림들이 그렇고, 매일 “안녕, 나의 멋진 깃털 친구들!” 하는 뒤퐁교수의 똑같은 말에 그를 골탕먹인답시고 도망쳐 숨어버린 발칙한 열 마리 앵무새들이 그랬다. 단단한 스토리 구조를 갖는 흥미있는 책이라기 보단, 똑같이 앵무새가 되어 그림속에서 앵무새들이 숨어있는 곳을 찾아 뒤퐁교수의 표정을 살피는 재미 정도로 만족해야 할 것 같다. 온 집안을 뒤지며 ‘갑자기 사라진’앵무새들을 찾는 뒤퐁교수. 이제 허탈해 어안이 벙벙한 그를 놀려주는 것을 이제 관두고 이쯤하면...하는 심정으로 다시 있던 자리로 되돌아온 앵무새들에게, 너무 반가워하며 뒤퐁교수의 말! “안녕, 나의 멋진 깃털 친구들!” 아.. 아마도 밋밋한 뒤퐁교수가 변하기전까지는 앵무새들과 뒤퐁교수의 숨바꼭질은 계속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리동동 거미동동 우리시 그림책 1
제주도꼬리따기노래·권윤덕 그림 / 창비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책을 처음보고 그랬다. 음...제주도 꼬리따기노래라.. 그림속엔 제주도의 많은 돌담과 바다가 매 그림마다 눈에 슥슥 들어오는 것 외엔 깜찍하게 생긴 아이가 집에서 나와 상상의 나래를 펼쳐 말잇기 놀이를 하고 있구나.. 하고.

헌데. 두번.. 세번째.. 그림책을 보노라니 이상하게 아이가 측은해 보이기 시작한다. 그래. 이제야 알 것 같다.. 아이가 사는 돌담집을 지나 돌섬 해안선을 따라 지나오면 파란 바다가 펼쳐지는 바다 위로 까마귀를 타고 날고 있는 아이의 외로운 마음이 차츰 전해옴을 느낀다.. 멀기만한 바다를 바위돌에서 하염없이 바라보는 아이의 뒷모습에선 마침내.. 물질하러간 해녀인 엄마를 기다리며 외로이 엄마생각에 설움이 북받친, 아니 그런 감정도 아직 이해하지 못할 그 외로운 아이의 마음을 고만 알아 차리고 만 것이다.. 엄마가 돌아온 불켜진 방안의 아이는 짧으나마 긴긴밤이길 엄마나 간절히 기원할까 말인가.. 제주도 오두막 아이집에서 측은함이 자꾸만 묻어온다...

작가 권윤덕씨는 작가의 말에서 이렇게 전했다.
[나는 이 책을 그리면서 슬픔을 배웠다. 신발 신고 집 나서는 아이를 보면서부터 슬픔이 잦아들었다. 그래서 오히려 보석처럼 아름답게 그리고 싶었다. 너무 슬픈데 슬프지 않게 슬픔을 그리는 방법을 배웠다.../ 제주에는 여신이 많이 산다. 엄마가 고달프고 외로운 삶을 구덕 속에 넣어두고 사람과 자연을 끌어안고 웃는데, 나는 그 속에서 커다란 여신의 모습을 보았다...]

아... 권윤덕 작가가 다시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혹독하고 고된 물질나간 엄마. 끝없이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 그 일상들의 모녀, 그런 슬픔의 이야기를 슬프지 않게 참 이쁘게도 만들다니 말이다.

'엄마가 섬 그늘에 굴따러 가면
아이는 혼자남아 집을 보다가
파도가 들려주는 자장 노래에
팔베고 스르르르 잠이 듭니다“

이런 노래가사와 잘 어울릴 법한 그런 여운을 주는 그림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커스 곡예사 올리비아 벨 이마주 23
이언 포크너 글 그림, 서애경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만약 진짜로 지금 내 옆에 올리비아 라는 아이가 있다면... 흠...고려해볼 일이다... 자기 생각과 주장이 너무도 확실하고, 아이들 앞에서 단박에 서커스 단원이된, 상상력이 풍부하다 못해 허풍같은 일만 줄줄이 말해대는, 순 거짓말쟁이 같고, 도무지 진실성이 보이지 않는 것 같고, 겁도 없고, 무조건 우기기까지 하는, 거기다.. 공주병 중증환자 같은 이 아이를 과연 감당할수 있을까.. 그런데 아마도 올리비아는 무지 의심많은 나 같은 어른을 충분히 소화해 낸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은 아닐지(^^;)... 여전히 책속의 올리비아는 앙증맞기만 한데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