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과 박헌영 그리고 여운형 - 전 노동당 고위간부가 본 비밀회동 박병엽 증언록 2
박병엽 지음, 유영구.정창현 엮음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지금은 돌아가신 박병엽이란 분이 북한 정부에서 관리로 있을때 본 자료들을 바탕으로 그의 ‘비상한 기억‘(편저자의 표현)에 기반한 구술을 글로 엮었다.
진위 여부를 따질 계제는 아니지만(당연히 능력도 안되고 한다면 관련 연구자들이 해야할 일이란 생각)구술에 기반했다고 몽땅 거짓이나 오류로 치부할만한 글은 아닌것 같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그가 본 원자료의 그것을 따져야 겠으나 그것은 매우 지난한 일일테다.
2. 여하튼 ‘비상한 기억‘이라고 한 이유가 그냥하는 말이 분명 아님을 한 페이지만 봐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자료가 북한의 그것이기 때문에 철저히 북한입장을 대변하는 쪽으로 주장이나 평가가 전개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남로당 숙청(박헌영,이승엽의 미국, 일본 간첩활동과 체제전복 사건)에 대해서 나름 세세한 사건 전개 과정을 밝히지만 결국 북한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몇가지 사료를 추가 증거로 내밀고 있긴 하다)
해방전후 박헌영과 여운형을 중심으로한 얘기들에 흥미를 가질만한 부분들은 있다. 아, 김일성은 시종 온화한 성품과 뛰어난 판단력을 겸비한 인물로 그려진다.
3. 덤으로 북한 초대 교육상인 백남운과 부수상 홍명희의 월북 과정을 엿 볼수 있다. 여하튼 북한으로 많이 올라가긴했다. 반대로 남한으로도 많이 내려 오기도 하고. 남한으로 내려온 세력에 대한 책으론 근자에 나온 <대한민국의 설계자들>(느티나무책방/김건우)에서 꽤 소개되고 있다.
여하튼 ‘구술‘ 이라는 방식으로 해방전후 남북 권력암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계기는 되었다. 사진 자료는 괜찮은 편 같다. 생전 처음보는 옛사진들은 흥미로웠다. 올림픽을 앞두고 북한과 대화가 시작 됐다. 한반도 미래는 남북이 어떻게 결합되느냐에 명운이 달렸다고 생각하기에 잘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