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어링 부부 3부작


니어링 부부의 책은 이 책들 말고 번역된게 몇 권 더 있는데 갖고 있는게 이렇게 세권이다. 진작부터 읽어야지 하다가 이번에 읽었다. 읽어야지, 하는 책들이 너무 많아 때론 허무하다. 아무것도 읽고 싶지 않은 단계에 하루속히 다다렀으면 하는 마음이다.그 단계가 언제 올런지는 모르겠지만.

니어링부부가 미국의 시골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20~30년대이고 그로부터 50년 이상을 시골에 살았다. 그들은 서구문명의 틀에서 벗어나고자 시골로 갔고 현재와 비교하여 아주 적은 돈(몇 백달러 수준)으로 숲이 울창한 수십만평의 땅을 구입했다. 시대적, 국가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그러려니해도 평당 수만원 이상하는 작금의 한국 현실관 하늘과 땅차이다.

먼저 시골로 간 사람은 스콧니어링인데 자서전에 그의 이력과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후 핼렌을 만나 함께 정착하는 과정은 <조화로운 삶>에 담겨있다. 그책엔 삶의 세부적인 원칙과 실천과정들이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역시 부러웠던것은 엄청난 단풍나무숲 이다. 하루 네시간 노동을 원칙으로 거기서 생산되는 시럽(설탕)으로 생활비의 상당량을 충당했기 때문이다. 그런 숲을 몇백달러에 구입했다는 사실.

그리고 <아름다운 삶,사랑 그리고 마무리>는 핼렌의 삶이 중심이다. 스콧과 만나기 전의 자신 얘기와 그후 스콧과 함께한 삶과 그의 죽음까지 기록하고 있다.

이 부부는 특별한 사람들임에 틀림없다. 어쩌면 근본주의자들 이라고 규정해도 그닥 틀리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자본주의를 부정하고 좀더 다른 방식, 또는 나은 삶을 추구 한다면 참고 할만한 책들은 될것이다.
하지만 실제 그런 삶을(귀농/귀촌 등)계획하고 실천하자면 좀더 치밀해질 필요가 있다. 특히 자금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 요즘 귀농은 기본적으로 몇 억이상의 자금이 소요된다. 땅사고, 집짓고, 농사준비자금, 생활비 등으로 소요되는 자금이 그렇다. 귀촌의 경우는 단순히 시골에 산다는 것이기 때문에 약간 다를순 있지만 땅사고 집을 짓는다면 역시 만만찮은 돈이 들것이다.
결국 어디서 뭉텅이 돈이 떨어지지 않는한 장기적으로 준비 할수밖에 없다. 그러는 동안 결국 의지가 많이 꺽이겠지만.
그러므로 의지충만할 때 귀농이나 귀촌을 할려면 지금 해버리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것이다. 겪어봐야지 별도리 있나. 그때 당신의 준비목록에 스콧이나 핼렌의 책들도 포함시키는 것이 그렇게 무의미한 일은 아닐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