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 소설이라는 거
자전소설과 자전적 소설은 다르다.
어찌보면 거의 모든 소설가들이 자전적 요소를 자기 글쓰기에 대입한다고 보는게 타당할 정도로 근, 현대 소설이 그렇게 형성돼 왔다.
박완서와 이문열도 그같은 경우에 해당할 만 하다.
그런데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과 [그 산이~]는 자전적 요소가 어느 정도 가미된 소설이 아니라 그냥 자전 소설이다. 즉, 작가의 기억에만 의존해 써내려간 여렸을 때(대략 5세 무렵)부터 스무 세살 무렵까지의 기록이다. 시대상으로는 일제 강점기인 1936년 경부터 한국전쟁이 중단된 1953년 까지이다. 이시기를 몸소 겪은 작가의 경험이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다. 물론 작가의 기억이 100% 맞다고 할순 없겠고 작가도 서문에서 그부분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작가는 자신이 경험한 사건,사고를 놀라운 기억력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소설들을 발표할 당시(1990년 초 중반)작가는 60을 넘긴 나이였다. 어찌보면 이제 인생을 정리해 보겠다는 어떤 결심으로 이런 소설을 썼다고 볼 수 있겠다.

반면 비슷한 시대가 배경인 이문열의 [영웅시대1.2]는 작가가 몸소 체험한 부분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1948년 생인 작가는 이 소설을 36세쯤인 1984년 무렵 책으로 냈는데 작가로선 당연히 일제시대를 직접 경험할 순 없고, 두, 세살때 경험한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들도 의미있게 남아 있을 순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영웅시대]는 자전적 요소가 가미된 소설일 것이다.
이런 구분이 큰 의미가 있는건 아니다.
단지 한국전쟁을 주요 모티브로하고 있는 두 작품의 차이가 도드라져 보인게 관심이라면 관심이다.
그러니까 전쟁을 직접체험하고 그로부터 수십년을
곰삭힌 이야기로써 박완서의 그것은 가슴속에 팍팍 꽂혀 드는데 반해 이문열의 그것은 별로 와닿는게 없는 것이다. 이문열의 소설은 줄창 자기생각만을 나열하는데 일관한다. 그 생각으로 이문열은 자기 아버지를 소위 ‘전향‘ 시켜 버리고 어머니는 기독교에 ‘귀의‘ 시킨다. 함께산 어머니는 그렇다쳐도 그 아버지가 어쨌든 구십 가까이 북에서 살았음을 감안하면 그같은 재단은 거의 폭력에 가깝지 않았나 싶은 것이다.
이문열의 경우는 좀더 자기수양과 인내를 통해 그야말로 이야기가 밖으로 꾸역꾸역 나올때 쯤해서 자전(적)소설을 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드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