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침표가 아닌 느낌표의 예술 - 박성봉 교수의 대중문화 읽기
박성봉 지음 / 일빛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박성봉 선생님에 대한 기억은 특별하다. 희끗한 머리의 캐주얼한 의상. 중년 남성. 수업내내 반쯤 춤추는 동작으로 강의를 진행하는 분. 만화나 영화 음악들을 열심히 보고 듣는 사람이 점수 잘받는 수업을 만들고 싶었다는 강의 소개. 그래 내 기억으로 그사람은 절대 범상한 사람은 아니었다. 도수 높은 안경과 정장차림의 교수님들만 보았던 나에게는 그 교수님의 등장 자체가 신선함이었다.
이 책은 마치 선생님 같다. 직접 수업을 다시 듣는 듯한 느낌으로 책은 넘어간다. 정리해서 체계적이고 이것저것 증명하면서 차분하게 나가기에는 시간이 너무 없다. 새로운 이야기들이 마구 샘솟아 오른다. 이 이야기들을 꼭 들어주었으면 좋겠어. 그러면서 아마도 마지막 수업에서 처럼 또 여운을 남기시겠지.새로운 명제를 찾아내시고 "다음 학기 수업은 이 문제를 가지고 수업을 해봐야겠어요.." 이책은 완결서가 아니다. 그저 경유지일 뿐이다.
예술이라 함은 우리에게는 무언가 멀리 추구해야만하는 이상향처럼 그려진다. 예술적 감수성, 예술적 역량, 예술적 외모...등등등.. "예술적"이라는 것의 이미지는 고귀하고 정돈되어 있고 밝다. 그러나 거기에 "대중"이 붙으면 우리는 어떤 이미지를 갖는가? 평론가들은 "대중성"을 천박하게 치부한다.('상업성'이 아니라 '대중성'이다. 상업성에 대한 논의는 다른 이야기다.) 대중이 좋아하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고 낮고 하위적인 것이다. 평론가들은 그렇게 말한다. 이책은 그에대한 문제제기로 시작된다. 그러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대중예술에 대한 고찰로 독자들을 끌고 가려한다.
왜 우리는 대중예술에서 더 감동과 재미를 쉽게 느끼는지.. 왜 그것들이 쉬운지... 그것은 자신이 사랑하는 대중예술에 대한 변호이자 고백이다. 물론 글은... 수업만큼 조금 정신이 없다. 이야기하고 싶은 게 너무많은 말문늦은 아이마냥 많은 것들이 담겨져 있다. 아직 본인도 완벽하게 개념을 세우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해서 어설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존재와 존재가 만나는 매개체로의 예술이 인간내면의 상처를 아프지 않을 만큼 건드리고 그것이 겉보기로라도 풀어지면서 재미를 느끼게 해준다는 것은 공감할 수 밖에 없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