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멘사 추리퍼즐 프리미어 - IQ 148을 위한 ㅣ IQ 148을 위한 멘사 퍼즐
데스 맥헤일, 폴 슬로언 지음, 권태은 옮김, 조형석 그림 / 보누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MENSA"세계적인 두뇌들이 모여 있는 집단으로 들어가는 과정도 매우 까다로우며, 일련의 지능검사와 테스트를 거쳐야하는 곳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그 이름은 우수한 두뇌의 인증서 같은 느낌을 준다.
그래서인지 "멘사"라는 이름이 붙은 책은 사람들에게 자신도 천재들의 두뇌에 가까이 갈 수 있는 길을 보여주는게 아닐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머 혹시 나도 우수한 두뇌가 아닐까 하는 착각? 같은 걸 원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머 일단, 나는 중학교때는 148이상이 나오긴했지만, 고등학교때는 126정도로 다소 평범한 지능지수를 가지고 있다.
학교는 대략 좋은 학교들을 다니긴 했지만 그렇다고 뚜렷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도 아니고.
따라서 멘사와는 전혀 직접관련이 없다. 머 어쩌면 다섯다리쯤 건너면 관련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누군가 링크를 5명을 건너면 세계누구와도 연결이 될 수 있다고 했다니까)
이런 평범한 나였기때문에 첫장은 매우 두근거리면서 열었다. 얼마나 골때리는 문제들이 있으려나..
사실 문제는 별로 길지 않다. 남자손바닥만한 책의 한페이지를 넘지 않는 내용.
예닐곱줄의 <문제>와 그에 가감되는 <단서>들이 난이도를 나타내는 별표몇개와 함께 나와있다.
아 참고가되는 삽화도 함께.
그렇지만 명탐정 코난 같은 추리만화에서 진짜 결정적인 단서를 숨긴다던지 하는 꽁수는 없다.
아 그렇다고 곧이곧대로 문제만을 가지고 푸는 것은 아니다.
일상생활에서 접했을 "상식" (특히 미국이나 영국쪽) , 세계각국의 문화나 역사에 관한 "지식",
이것들을 엮어서 유추해내는 "연상력"들이 필요하다. 직간접으로 경험했던 상황이라면 더욱 도움이 된다.
별 두개짜리정도는 범인(凡人)인 나도 단순하게 생각해 낼 수 있었다.
(그건"어머, 나 천재인거 아냐?"라는 기분좋은 착각이 드는 기쁨을 누리게 해주었다.
솔직히 나에게 있어, 문제들의 흥미성 보다는 답에서 알 수 있는 다른 상식들이 더 흥미로웠다.
IQ 148이상이면, 그런 구체적인 상황들까지 상상이 되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짧은 문제안에서 유추할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 답에 담겨 있었다.
그것은 잘 몰랐던 문제들일수록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그런 명쾌함들이 담겨 있었다.
총 188문제 안의 188가지의 다른 상황과 다른 이야기들.
읽어볼 수록 추리소설이나 탐정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알아야할 거 같은 괜한 기분까지 들었다.
사실 상황자체는 몇가지 일들만 빼고는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황들이었다.
그런 속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상황을 나는 얼마나 많이 지나치고 있었던 것일까.
이책 덕분에 약간 지루하기까지 한 일상이 조금 더 흥미로워질 거 같다.
회사다니면서 오가는 시간 지루할때 읽으라고 남편 손에 쥐어주었다.
요즘 팍팍해지는 일상속에서 남편도 좀더 재미있는 것들을 찾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