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쓰는 로봇 - AI 시대의 문학
노대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고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드는 책들은, 지금 내가 고민하는 지점을 짚어주는 책일 확률이 높다. 학교에서 국어 수행평가 계획을 짜면서 가장 고민하는 지점이 '어떻게 해야 아이들이 챗gpt를 쓰지 않고 본인의 힘으로 글을 쓰게 할 수 있을까?'였으니까. 거기에 더해 '사람들이 이제 로봇에게 진찰을 받아 로봇 약사에게 약을 처방받고, 집으로 돌아와 로봇이 내 취향에 딱 맞춰 쓴 소설을 읽는 시대가 오면 인간 소설가는 어떻게 될까?'라는 생각.


노대원 평론가의 평론집 [소설 쓰는 로봇:AI 시대의 문학]은 흥미로운 기획의 글이 많다. 인공지능을 소재로 다룬 소설을 인공지능(챗gpt)과 함께 읽고 평론한 글이라던가, AI에게 시를 쓰게 해 그 시에 대해 대화를 나눈 글이라던가, AI, 트랜스/포스트휴먼, 사변소설, SF 소설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고찰하는 비평글을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따라 읽었다. 새롭게 알게 된 개념들, 재확인 및 재정립하게 된 용어들, 읽어야 할 SF 독서 목록, 그래서 AI가 인간을 도울 것인지 대체할 것인지 인간을 밀어낼 것인지에 대한 상상, 평론을 읽는데 소설적 상상력이 자극되는 특이점의 책.


책을 읽는 동안 내 알고리즘에 김애란 작가님의 최인호 청년문학상 수상소감이 들어왔다. 챗gpt와의 대화를 통해 작가가 풀어낸 어떤 답에 대하여, 완벽한 답은 아닐지라도 실마리 하나가 떠올랐다.


거의 모든 순간 이상적이고 모범적인 대답을 내놓는 챗GPT 와 달리 인간은 때로 자신의 이익과 반대되는 선택을 하고, 누군가는 어리석다 할 만한 희생과 도전 그리고 헌신을 하는 존재이니까요. 몸이 있어 비루하고, 몸이 있어 질병과 죽음과 이별을 겪고, 몸이 있어 슬프고, 몸이 있어 전 생애에 걸쳐 한 문장을 여러 방식으로 경험하는 인간 작가 중 한 명으로 이 자리에 서서 제 동료들을 바라봅니다. 몸이 있어 부채감을 느끼고, 몸이 있어 허리 숙여 감사 인사도 전합니다


김애란, 최인호 청년문학상 수상소감 중, 강조는 인용자


-54쪽, AI 문학이 문학의 미래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로 인간은 여전히 문학의 창작과 향유 과정에서 항상 핵심 주체로 남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문학은 인간 진화의 문화적 산물이자 욕망의 반영이기 때문이다. 문학은 본질적으로 신체화된 인간의 정서적 체험에 기반하고 있으며, 마음이론, 마음 읽기 능력과 서사적 역량 등 인간 인지와 삶에 뿌리내리고 있는 문화이기 때문이다. AI 기술의 발전이 인간 이상의 탁월한 문학을 생성할 수 있어도, AI가 인간의 몸과 체험이 없다면, 그 생성 과정은 인간과 근본적으로 다른 과정이며, 인간처럼 문학을 향유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노대원, 소설 쓰는 로봇, 문학과지성사


소설이야말로 가장 인간적인, '몸'에서 태어난 문화이기에 AI가 대체할 수 없을 것이라는 판단은 다소 낙관적으로(혹은 비관적으로?) 보일 지도 모르겠지만, 이것이 지금 내 고민에 대한 완벽한 답이 될 수도 없겠지만, 원래 완벽한 답이란 없고 인공지능조차 100프로 완벽한 답을 내릴 수 없기에, 다소 만족스러운 마음으로 글을 쓴다. 오직 내 손으로 내 머릿속에서 자아낸 문장들을 나열한다. 지금 이 글에는 단 한 줄의 인공지능이 섞이지 않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