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용한 예술가의 초상 - 막심 뒤 캉론
하스미 시게히코 지음, 이승준 옮김 / 비고(vigo)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범용하다(형) : 평범하고 변변하지 못하다

천 페이지가 넘어가는, 내겐 낯선 일본 작가가 쓴, 막심 뒤 캉이라는 생전 처음 들어보는 19세기 프랑스 작가를 다룬 평전을 읽게 된 이유가 있다면? 제목의 '범용한'이 눈에 들어와서, 책 소개글에 인용된 본문 내용에 눈이 뜨여서, 결과적으로 이 책은 개인적으로 올해의 책에 등극했다는 기쁜 소식.

-72쪽, 1850년이라는 시대는 재능의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마치 문학이 자신의 천직임을 주장하듯 고지식한 태도로 문학의 숙명을 이야기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한 최초의 세대를 탄생시켰다. 자질과 재능에 못 이겨 문학으로 향하는 것이 아니다. 문학을 이야기하는 것이 범용한 존재에게도 허락된 민주적인 특권이자 의무라 믿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문학과 예술에 종사하는 자의 고립감은 이제 현실로서 살아있는 가혹한 체험이 아니라 널리 공유된 환상으로서 '예술가'들을 보호하는 쾌적한 환경이 되었다.

책에서 다루는 막심 뒤 캉은 누구인가? 시와 소설을 썼고 사진이 실린 여행기를 최초로 출간한 사진가이자 여행 작가, 도시론을 집필한 저술가, 문예지 편집자, 무엇보다 그의 이름이 지금까지 남아 있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친구였기 때문이다. 우리는 플로베르가 어떤 소설가인지 잘 알고 그가 쓴 [보바리 부인]을 지금까지 읽으며 근대소설의 형식을 확립한 고전이라 칭송한다. 막심 뒤 캉의 책은 대부분 절판되었고 아무도 그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는다. 플로베르는 소설가로 태어나 소설을 쓴 예술가다. 막심 뒤 캉은 소설가로 태어나지 않았으나 소설을 썼고 작가로 타고나지 않았으나 일흔의 나이로 사망 직전까지 성실하게 글을 쓴 '범용한 예술가'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의 우리는 누구나 글을 쓰고 책을 내고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개념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글을 쓰고 발표할 플랫폼이 넘쳐나고 혼자서 출판사를 차려 책을 낼 수 있는 지의 민주주의 시대, 소설가로 타고나지 않았음에도 충분히 소설을 쓰고 발표할 수 있다. 그 시작점을 이 책은 19세기 중반, 막심 뒤 캉이라는 인물에 초점을 맞춰 보여준다. 이제 더 이상 예술가는 태어나지 않는다. 예술가로 '날조된다'.

-179쪽, '예술가'란 결코 보편적인 존재가 아니라 엄밀하게 역사적인 존재다. '예술가'는 1851년 즈음에 대거 출현한 수상한 사람들이다. 그들은 영원한 아름다움 따위와 아무 상관도 없다. 그렇다면 막심도 그 중 한명인 '예술가'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그들은 모방해야 할 모델 없이 갑작스럽게 생산된다. 즉 스스로를 날조하는 존재들인 것이다.

예술가의 개념이 변화하는 역사적 흐름에 떠밀리는 줄도 모르고, 소설가와 시인의 재능이 없음에도 성실하게 소설과 시를 썼던, 이제 아무도 읽지 않는 수많은 책을 쓴, 플로베르의 재능을 질투한 '범용한' 인물로만 남아버린 막심 뒤 캉은 그 자체로도 '소설적인' 인물이다. 자기 자신을 특별한 예술가로 상상하며 성실하게 글을 쓴 범용한 예술가의 일생은 불가능한 목표를 추구하며 끝내 실패하고 마는 소설적 주인공의 전형이 아니겠는가. 그래서인지 이 책은 학술서임에도 불구하고 소설처럼 술술 읽힌다. 범용한 인물에게 나 자신을 투사해 깊이 감정이 이입된 상태로 읽게 되기 때문일수도 있다.

문학사는 플로베르와 빅토르 위고, 보들레르에게 기꺼이 자리를 내어줄 뿐 막심 뒤 캉과 같은 범용한 예술가에겐 이름 하나 둘 공간을 허락하지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대부분 플로베르가 아닌 막심 뒤 캉이다. 우리는 평범하다는 단어에 거부감을 느끼지만 대체로 평범한 재능을 가지고 평범하게 살아가는 범용한 인간이다. 우리는 우리의 범용함을 되새기고 연구해야 한다. '범용하다'는 단어가 특별해지는 기묘한 경험을 [범용한 예술가의 초상]은 해내고야 만다. 그것조차 전형적인 해석이라 하면 할 말이 없지만, 범용한 독서 감상문을 남길 수밖에 없는 나 자신도 범용하다고 쓰면서 범용함의 범용함에 대하여 반복하는 문장은 끝이 나질 않고...

-73쪽, 자신을 예외적이라 믿으면서도 전형적임을 그만두지 않는 막심. 그는 이중적인 의미에서 전형적인 '예술가'이다.

-138쪽, 일단 범용한 예술가란 바로 그러한 거리의식과 방향감각을 가지고 자신이 무언가를 대변하면서 예언할 수 있는 예외적인 비범함을 지녔다고 확신하는 존재다, 라고 정의해 두자.

-273쪽, 어쩌다 주변에서 발생한 지극히 개인적인 불행을 사회적인 불행으로 확대시켜야 할 것처럼 느끼는 보잘것 없는 의지, 그리고 그 의지를 실현시키기 위해 동원되는 보잘것 없는 전략. 이것이 근대소설이라 불리는 담론의 진짜 모습이다. 그리하여 '문학'은 19세기 중엽 이래로 이 보잘 것 없는 전략의 초라함을 은폐함과 동시에 그 초라함을 착각으로 확대시키려는 시도가 펼쳐지는 불확실한 환경으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637쪽, 사람은 누구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이야기를 동시에 살아갈 수 있다. 아니 생활이란, 서로 모순되는 설화론적 이야기들에 동시에 몸을 맡기면서 그때그때 각각의 이야기를 끝맺음 없이 다른 이야기로 이동하는 것과도 같다. 자기자신이 오직 하나의 이야기의 주인공이라고 단정짓거나 또는 타인에게 그러기를 요구하는 것은 삶 자체에 저항하는 것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