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밀리 디킨슨 시 선집 ㅣ 을유세계문학전집 126
에밀리 디킨슨 지음, 조애리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5월
평점 :
살아 있는 것은-힘이다-
존재-자체가-
더 유능해지지 않아도-
충분히-전지전능하다-
살아 있고-의지만 있으면 된다!
우리가-유한한 존재이더라도-
창조주인-신만큼-
유능하다!
에밀리 디킨슨, 677(디킨슨의 시는 제목이 없어 번호로 대신함)
집 안에 스스로를 가둔 '흰 옷을 입은 시인'의 이미지였던 에밀리 디킨슨, 그에게 처음 관심이 갔던 계기는 2년 전 읽었던 마리아 포포바의 책 [진리의 발견]이었다. 책의 내용과 서술 방식과 책이 소개하는 인물들 모두가 내게는 충격이었다. 그 중에서 가장 강렬하게 각인된 이름은 시인 에밀리 디킨슨. 다만 그때는 그의 시보다는 생애 중심으로 읽었고 그의 시를 본격적으로 읽은 건 을유문화사의 세계문학전집으로 출간된 [에밀리 디킨슨 시 선집]이다.
한국어 문장에 익숙지 않은 줄표'-'가 화살처럼 쏟아지는 그의 시는 짧고 강력하다. 디킨슨의 시 속에서 인간의 유한한 생명은 단숨에 신의 무한한 전지전능함과 동등해진다. 은둔과 죽음의 시인으로 막연하게 생각했던 그의 시는 여름의 열기로 맥동하고, 시행 사이로 뜨거운 사랑이 흘러넘치며, 삶 그 자체로 가득 차 있다.
에밀리 디킨슨의 시를 읽으면 시인은 최선을 다해 사랑하는 자, 라는 정의를 내리고 싶어진다. 그는 자신의 생명을 다해 삶을 사랑하고 시를 쓰기 위해 스스로를 가둔 능동적인 사람이었다. '명성은 곧 치울 접시에 담긴/잘 상하는 음식(1659'이라는 싯구와 같이 명성의 접시를 거절하고 세간의 영광에 흔들리지 않으며 스스로의 삶을 써서 남겼다.
시인이 세상을 떠난 뒤 그가 남긴 1800여편의 시 중 몇 편을 고른 선집만 읽고 에밀리 디킨슨을 전부 안다고 할 순 없다. 그가 남긴 '생명의 빛(883)'에 나 자신을 잠시 비추고 갈 뿐이다. 영원히 꺼지지 않을 시의 빛.
내가 죽음에게 들를 수가 없어-
친절하게 그가 내게 들렀다-
마차에는 우리 둘-
그리고 불멸뿐.
우리는 천천히 달렸다-그는 전혀 서두르지 않았다.
그가 공손히 청하는 바람에
나는 하던 일과 휴가까지,
제쳐 두고 떠났다-
우리는 학교를 지났다-
노는 시간이라 아이들이-옹기종기 모여-놀고 있었다-
우리는 곡물들이 물끄러미 바라보는 들판을 지나쳤다-
우리는 지는 해를 지나쳤다-
아니 오히려-지는 해가 우리를 지나쳤다-
차가운 이슬방울이 떨렸다-
나는 얇은 드레스에-
망사-목도리만 두르고 있었다-
우리는 불룩한 둔덕처럼
보이는 집 앞에 멈췄다-
지붕은 거의 보이지 않고-
처마는-땅속에-묻혀 있었다-
그로부터-수백 년이 흘렀다-그런데
처음에 말의 머리가
영원을 향하고 있을 거라 추측한
그날 하루보다 더 짧은 시간이 흐른 것 같다-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