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 을유사상고전
아르투르 쇼펜하우어 지음, 홍성광 옮김 / 을유문화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새해 첫 달 이 책과 함께 보낼 수 있어 행운이었다. 새로운 해를 맞이하며 삶의 습관을 점검하고 새로운 태도로 몸과 마음을 다듬을 좋은 기회니까. 개인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할 때 쇼펜하우어가 건네는 적절한 조언들에 큰 도움을 받았다.


[쇼펜하우어의 행복론과 인생론]의 원제는 '소품과 부록'이고 쇼펜하우어의 대표 저작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이후에 출간되어 그에게 뒤늦은 명성을 안겨 준 책이다. 독서 순서는 이 책을 먼저 읽고 '나 쇼펜하우어와 궁합이 잘 맞네...?'하면 자연스럽게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훨씬 명료한 서술과 상대적으로 대중적인 내용들-우리에게 행복만큼 중요하고 궁금한 관심사가 어디 있겠는가?-이 쇼펜하우어의 세계로 진입하는 장벽을 가볍게 낮춰 준다.


책에 대하여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지만 제목에 집중하여 '행복론'을 중심으로 정리한다면, 쇼펜하우어가 말하는 행복이란 '나 자신으로부터, 고통을 줄이고, 현재에 집중할 것'이라는 방법론으로 말할 수 있다. 세계는 나의 표상-먼저 내가 있고 그다음에 세계가 있다-이고, 삶이란 고통이며, 지금 이 순간이 지나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쇼펜하우어의 세계관은 고통으로 가득한 의지(욕망, 욕구, 갈망, 추구, 노력 등)로 이루어진 곳이다. '인생이란 어떻게든 끝마쳐야 하는 힘든 과제와 같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때 "나는 인생을 견뎌 냈다"라는 말은 멋진 표현이다(266쪽)' 행복한 상태는 소극적이고 고통은 적극적이기에 우리는 고통을 줄이는 방법으로 행복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한다.


37쪽, 이 때문에 가장 좋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각자 자기 자신을 위해 존재하고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그런 것이 많을수록, 따라서 향유의 원천을 자기 자신 속에서 더 많이 발견할수록 인간은 더 행복해진다.

115쪽, 그러므로 행복론은 그 명칭 자체가 미화하는 표현이고, '행복하게 산다'라는 말은 '덜 불행하게', 즉 그럭저럭 견디며 산다는 의미일 뿐이라는 가르침으로 시작해야 한다. 물론 인생이란 향락을 즐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통을 이겨 내고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127쪽, 현재만이 진실하고 현실적이다. 현실은 현실적으로 충만한 시간이고, 우리의 생활은 오로지 현실 속에서만 존재한다. 그 때문에 우리는 현재를 항시 명랑한 기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직접적인 불쾌감이나 고통이 없는 그런대로 견딜 만한 자유로운 시간은 일부러 그 자체로 즐기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과거에 품은 희망이 실패로 돌아갔다거나 미래에 대한 우려 때문에 짜증 난 얼굴로 현재를 우울하게 보내서는 안 된다. 지난 일에 대한 불만이나 미래에 대한 우려 때문에 현재의 좋은 시간을 내팽개치거나 경솔하게 망쳐 버리는 것은 대단히 어리석은 일이다.

131쪽, 자기 자신에게 만족하고 자기 자신이 전부일 수 있어서, "나는 모든 재산을 몸에 지니고 다닌다"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확실히 우리의 행복에 가장 유익한 특성이다.


삶은 고통이라는 관점이 절망적이라는 인식보다 고통이기에 이를 견딜 방법을 모색하는 긍정적 태도가 크게 다가왔다. 고통을 견딜 주체는 오직 나 자신 뿐이니 내가 할 일은 나를 다듬는 것. 타인의 시선에 신경쓰지 않고, 외부의 요인(돈, 명예, 우리가 욕망하는 수많은 것들)에 나의 행복을 의탁하고 얽매이지 않으며, 스스로 자유로워 질 것. 그렇다고 세계와 아주 단절되지는 말 것. 고슴도치들이 상대방의 가시를 견딜 수 있는 적당한 거리를 발견하듯(이 비유를 쇼펜하우어가 처음 썼다! 503쪽) 서로를 견디고 존중할 수 있는 정중함과 예의를 발견할 것.


이만하면 연초에 읽을 만한 훌륭한 행복론과 인생론이 아니겠는가.

#쇼펜하우어 #철학자 #철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