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물에 떠내려가는 7인의 사무라이 입장들 2
정영문 지음 / 워크룸프레스(Workroom)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소설 속 인물들에게 좋거나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나고, 서로에게 좋거나 좋지 않은 말이나 행동을 해 그로 인해 서로가 서로에게 좋거나 좋지 않은 감정을 갖게 되고, 그로 인해 서로에게 가까워지거나 서로에게서 멀어지고, 서로가 좋거나 좋지 않게 사람이 달라지고 뭔가가 바뀌는 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어쩌면 재래식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소설은 언젠가 이후로 쓸 수 없게 되었는데 거기에는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그런 소설 속에 등장시킨 소설적 인물들은 나와는 상관없는 남들 같았고, 그 인물들에게 이래라저래라 하고 그들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나와는 상관없는 남들의 일에 참견하는 것 같았는데, 나는 남들의 일에 참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고, 그렇지 않아도 너무나 문제가 많은 세상에서 소설 속 인물들 간에 문제를 생기게 하고 서로 갈등하게 하는 것이, 그것이 소설가가 해야 하는 짓인지에 대해 너무나 회의적으로 된 상태였는데(나는 내가 쓰는 소설 속에서라도 누군가에게 안 좋은 일이 안 일어나기를 바랐다.), 7인의 사무라이가 내 머릿속에 출현하게 된 것이 그것과 무슨 상관이 있는지는 알 수 없었다. - 정영문 [강물에 떠내려가는 7인의 사무라이] 60쪽


이 소설은 시작과 끝이 없고, 그 형태는 곧 강물과 같고, 강물 같은 소설을 읽다 보면 어느새 나도 떠내려가고 있고, 떠내려가는 내 옆에 7인의 사무라이들이 자네 왔는가 하는 표정으로 같이 떠내려가고, 내 머릿속 사무라이의 이미지는 뾰족한 모자를 쓰고 옷이라기보다 천을 두른 것 같은 차림새에 검을 찬 키 작은 이들인데, 목숨을 걸고 싸울 법한 목적의식을 갖고 사는 이들이 무목적적으로 강물에 둥둥 떠내려간다는 제목부터가 모순적인데, 어느새 강물에 떠내려가는 사무라이의 머리통들이 머릿속에 선명하게 새겨져 버린 뒤다.


정영문 소설은 처음이다, 라고 쓰려다 아주 오래 전 이상문학상 작품집에서 <목신의 어떤 오후>라는 제목의 단편을 읽은 기억이 난다. 다 읽은 뒤 내 감상은 이랬다. 뭐야? 뚜렷한 플롯도 사건도 등장인물도 희미한 그 소설은 초짜 독자에겐 말 그대로 '뭐야?'만 남기고 사라져버렸다. [강물에 떠내려가는 7인의 사무라이]를 읽은 뒤 내 감상은 이렇다. 뭐야~믿을 수 없겠지만 박장대소한 페이지도 있다. 기묘한 유머, 한없이 길어지는 만연체임에도 쏙쏙 읽히는 명확한 문장, 머리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는 이미지들, 소설에 대한 소설. '밑도 끝도 없는' 소설. 밑도 끝도 없이 시작해 밑도 끝도 없이 끝나는 소설. 마치 인생과 같은, 밑도 끝도 없이 태어나 밑도 끝도 없이 죽는 삶과 같은 소설.


내가 유일하게 궁금한 것은 밑도 끝도 없는, 계속해서 이야기가 옆으로 새는, 말하는 것이 없는, 말하는 것과 말하지 않는 것이 차이가 없는, 결국에는 하나 마나 한 이런 이야기를 언제까지 얼마나 더 할 수 있나 보는 것뿐이었고, 이 글 역시 그것을 보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었다(그리고 당연하게도 그것의 즐거움을 아는 사람에게는 즐거움을 주지만 그것의 즐거움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즐거움을 주지 않는, 단어와 어구의 반복적인 사용을 얼마나 할 수 있나 보는 것이기도 했다.). 그런데 너무도 많은 소설들이 뭔가를 말하려고 했고, 의도적으로 하나 마나 한 이야기를 하는 소설은 너무 적었고, 나로서는 하나 마나 한 이야기를 할 필요가 있고, 그렇지 않은 이야기는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영원히 옆으로 새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였다. -정영문, 같은 책, 37쪽


이번 기회로 나는 그것의 즐거움을 아는 사람이 되어 즐거움을 실컷 즐겼다. 안타깝게도 다른 이들에게 쉽게 추천해 줄 수 없는 즐거움이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