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떠나온 세계
김초엽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0월
평점 :
품절


이해할 수 있을까?

내가 너를 이해할 수 있을까?

네가 나를 이해할 수 있을까?


'나'는 모그인 마리를 이해할 수 있을까?(마리의 춤)

진은 세 번째 팔을 원하는 로라를 이해할 수 있을까?(로라)

숨이 곧 언어인 숨그림자 사람들은 음성언어를 사용하는 원형인류를 이해했을까?(숨그림자)


서로 다른 세계의 사람들이 만난다. 다른 행성 출신이, 지구에서 먼 행성으로 이주한 이주민들이, 분화된 진화과정을 거쳐 신인류가 된 인간과 원형 지구의 인간이. 입자로 의사소통하는 <숨그림자>의 행성에서 불시착한 원형 인류가 발견된다. 엄격한 종교가 지배하는 행성 벨라타에 착륙한 지구 탐사선은 행성만의 <오래된 협약>의 비밀에 당황한다.


때로 그 세계는 선천적인 질병이나 후천적인 아픔의 형태로 다가오기도 한다. <최후의 라이오니>의 '나'는 로몬이라는 자신이 속한 세계에서 적응을 어려워 한다. <인지 공간>의 이브는 병약하게 태어나 공동체에 속한 사람이라면 마땅히 진입해야만 하는 인지 공간에 들어갈 자격을 얻지 못한다. 이 세계가 나를 환영하지 않는다는 감각은 아프다. 내가 이곳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적응하거나, 변화시키려 노력하거나, 떠나거나.


"이곳을 사랑하게 만드는 것들이 이곳을 덜 미워하게 하지는 않아. 그건 그냥 동시에 존재하는 거야. 다른 모든 것처럼."

김초엽 <숨그림자> [방금 떠나온 세계]


김초엽 작가님의 두 번째 단편소설집 [방금 떠나온 세계]의 독특한 지점 중 하나가 기존 세계와 불화하는 존재를 중심으로, 그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점을 중요하게 다룬다는 것이다. 선천적인 시지각 이상증을 가지고 태어난 모그인 마리에게 춤을 가르치는 <마리의 춤>의 '나'는 보이지 않는 춤을 연습하는 마리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원래 지구 출신인 조안을 이해하려는 <숨그림자>의 단희는 조안을 위해 새로운 의미합성 기계를 만드는 일에 몰두한다. 존재하지 않는 세 번째 팔을 원하는 <로라>의 로라를 이해하기 위해 책까지 쓰는 진, 인지 공간에 들어올 수 없는 이브의 노력을 뒤늦게 알아채고 친구의 연구를 이어가기 위해 인지 공간을 떠나는 <인지 공간>의 '나', 시간지각 능력을 잃어버린 천재 이론물리학자 언니를 이해하기 위해 울산의 백화점 옥상 관람차에 탑승하는 <캐빈 방정식>의 '나'. 아끼고 사랑하는 가까운 이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연구하고 기다리며 끝내 익숙한 세계를 떠나는 '나'들.


나의 세계와 너의 세계는 서로 다른 행성처럼 기압도 중력도 생태계도 달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나의 시간과 너의 시간은 서로 다르게 흐른다. 때로 나는 너를 오해하고, 어쩌다 너는 나를 라이오니라 착각한다. 나는 너의 라이오니가 아닌데, 왜 너는 내게 춤을 배우려 하는지, 왜 나를 떠나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지만 이해하겠다. 그 이해가 끝내 실패하더라도 끝까지 붙잡아보겠다. 너의 주머니 우주와 나의 주머니 우주가 동시에 공명하는(캐빈 방정식) 그 순간을 위해.


눈이 마주쳤을 때, 로라는 장난기 어린 표정으로 씩 웃었습니다. 그 순간 저는 여전히 로라를 사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어요. 동시에 제가 앞으로도, 어쩌면 영원히 로라를 이해할 수 없으리라는 것도요.

하지만 그걸 깨닫는 기분이 나쁘지는 않았습니다.

사랑하지만 끝내 이해할 수 없는 것이 당신에게도 있지 않나요.


김초엽, <로라>, 같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