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영동 이야기
조남주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1월
평점 :
최근 해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한국소설이 조남주 작가님의 [82년생 김지영]라는 기사를 읽었다. 소설이 현실의 거울이라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비추는 작가님의 거울이 이번에 향한 곳은 아파트. 좋은 기회를 얻어 작가님의 신작 소설이 정식으로 출간되기 전 먼저 읽을 수 있었다.
일곱 편의 소설이 이어지는 연작소설 [서영동 이야기]의 세 작품을 읽었다. 서울의 동네 서영동, 등장인물의 대사로 추정해 용산-마포-목동 라인의 서울 서쪽 강북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역. 동아, 현대, 우성, 노블엔 등의 아피트가 있고 '서사사'카페가 활성화된 곳. 가장 한국적인 무대가 있다면 아파트가 아닐까 생각한다.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값이 내 '부'를 상징하고, 동네를 대표하고, 아이의 교육 미래가 되며, 부모의 노후가 되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배경이자 목표, 문제의 핵심이니까.
아파트라는 재산의 가치를 둘러싸고 담론화되는 과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봄날아빠(새싹회원)>
아파트 거주민에 가려진 경비원을 조명한 <경고맨>
아파트가 곧 학군이 되고 영유(영어유치원)부터 시작되는 교육열의 중심지로 형상화되는 <샐리 엄마 은주>
뒤에 이어지는 작품들도 서영동의 아파트와 그곳에 사는 이들, 일하는 사람들, 이해관계가 얽힌 인간 군상을 샅샅이 비출 것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떠올리는 현실의 뉴스들-아파트 값을 올리기 위해 유명 동네 이름까지 넣어 바꾸려고 소송까지 불사하는 사람들, 경비원 갑질, 임대아파트를 배척하는 멸칭들, 현재진행형 사건인 아파트 부실공사 등등등...수많은 사회문제들이 아파트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다.
가장 한국적인 사회문제를 알고 싶다면 아파트를 보아라. 인간의 기본조건인 의식주가 목숨을 걸어야 할 정도의 가치에 거품이 낄 때 보여지는 인간 행동 양상을 관찰하라. 서영동은 서울, 한국의 동네다. 아파트가 많고 그 누구보다 치열한 삶의 현장.
#서영동이야기 #조남주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2기_서영동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