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집
니콜 크라우스 지음, 김현우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랍이 많은 거대한 책상을 중심으로 얽힌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 그 책상의 주인은 나치 점령 시기에 죽임을 당한 유대인 역사학자고, 그의 아들 바이스가 가구 사업자가 되어 아버지의 책상을 찾기 시작하고, 몰수당한 유대인의 가구들은 전 세계를 떠돌아 영국에 사는 유대인 소설가, 소설가를 찾아온 젊은 칠레 시인, 미국의 소설가를 거쳐 그의 딸이 손에 넣는다.

제목 '위대한 집'의 의미는 바이스가 책상을 추적해 유대인 소설가의 남편에게 들려 준 랍비 요하난 벤 자카이의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그는 책상을 찾아왔지만 책상은 20년도 더 전에 칠레 시인에게 넘어간 뒤였고, 소설가는 죽었고, 남편은 죽은 아내가 숨기고 있던 다른 모습을 알게 된 뒤 충격에 빠진 상태였다. 로마에 의해 예루살렘이 파괴된 뒤, 유대인들은 구전되던 율법을 정리해 책으로 만든다. '예루살렘을 잃어버린 유대인은 뭐란 말인가? 나중에야, 자카이가 죽은 후에야, 그 질문에 대한 대답이, 마치 뒷걸음치며 물러나야 보이기 시작하는 거대한 벽화처럼,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기 시작했죠. 그 대답은 예루살렘을 하나의 개념으로 전환하는 것이었습니다. 사원을 책으로, 도시 자체만큼 광대하고 성스럽고 섬세한 책으로 바꾸는 거죠. 잃어버린 것 주변으로 사람들을 모아, 그 텅 빈 자리에 모든 것이 비치게 만드는 겁니다.'(396쪽) 그렇게 유대인들은 각자의 기억을 모아 '위대한 집'을 만든다.

소설의 주인공들은 무언가를 잃어버린 자거나 잃어버린 자의 옆에서 그의 상실감을 목도하는 자다. 소설을 쓰다 남편도 가까운 친구도 전부 잃어버린 사람, 삶의 부조리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잃어버리고 고통스러워하는 아들을 바라보는 아버지, 아무리 노력해도 아내의 전부를 이해할 수 없는 남편, 강압적인 아버지에 의해 정상적인 어떤 것을 잃어버린 줄도 모르고 잃어버린 아이들, 그들 중심에 놓인 그 책상. 잃어버린 것을 대체할 만한 것을 만들 수 있을까? 우리가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제대로 이해는 할 수 있을까? 수많은 서랍이 달린 책상처럼 우리는 각자의 서랍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추측하고 상상하여 성스럽고 섬세한 '집'을 만드는 수밖에.

-138쪽, 갑자기 울고 싶어졌다. 한 여인, 내가 사랑하는 여인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 늘 옮겨다니는 그 중심에 가까이 다가가는 일에 대한 좌절감과 피곤함, 그리고 절망이 몰려왔다. 기름진 음식을 바라보며 그 자리에 앉아 눈물이 흐르기만 기다렸다. 눈물이 좀 났으면 좋겠다고, 그래서 알 수 없는 이 짐을 내려놓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대로는 너무 피곤하고, 지고 있는 짐이 무거워서 꼼짝도 할 수 없을 것 같았다. 하지만 눈물은 흐르지 않았고, 나는 몇 시간이고 그 자리에 앉아 지칠 줄 모르고 유리창을 때리는 빗물을 바라보며, 우리가, 아내와 내가 함께 지낸 날들을 생각했다. 그런 날들엔 모든 것이 영원할 것만 같았다. 자기 전 벽에 붙어 세워둔 의자는 다음날 아침에도 그대로 그 자리에 있었고, 전날 이야기했던 작은 습관들은 다음날에도 그대로 예상할 수 있었는데, 그 모든 것이 사실은 환상일 뿐이었다. 단단한 물질이라는 것이 환상이고, 우리의 몸이라는 것이 환상인 것과 마찬가지였다. 한덩어리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건 수백억 개의 원자들이 오가는 과정, 어떤 것은 새로 도착하고 어떤 것은 영원히 떠나가버리는 과정이었다. 마치 우리 각자가 커다란 기차역에 불과한 것만 같았다. 아니, 기차역에선 수많은 사람들이 부산스럽게 오가는 와중에 적어도 선로와 그 아래의 자갈, 유리 천장은 그대로 자리를 지킨다. 인간은 그보다도 못한 무엇, 매일 서커스 공연장이 세워졌다. 다시 허물어지는 공터와 비슷했다.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모든 것이 바뀌고, 똑같은 공연은 한 번도 없는 그런 곳. 상황이 그 지경인데, 다른 사람은 고사하고 자기 자신의 모습이라도 제대로 이해해 보겠다는 희망을 가져도 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