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르고 고른 말 - 카피라이터·만화가·시인 홍인혜의 언어생활
홍인혜 지음 / 미디어창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나의 언어는 고작 자모음 몇 개의 조합인 주제에, 목청을 울리는 찰나의 진동인 주제에 우리 영혼의 각도를 바꾼다.

최근 이전에 쓴 일기를 다시 읽다 내가 '싫어한다'는 말을 자주 쓴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놀랐다. 코로나 싫어, 마스크 싫어, 원고 거절당하는 거 싫어, 아들이 떼쓰는 거 싫어, 아들의 떼도 받아주지 못하는 내 무능력이 싫어...2년 간의 팬데믹 상황에서 집에 갇힌 나는 세상 모든 것을 싫어하며 나 자신까지 싫어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혐오 표현이 일상화되고 사람들은 자기 자신과 다른 것을 배척하면서 서서히 고립된다.

말은 중요하다. 나는 네가 아니기에 완벽하게 너를 알 수 없지만 말이 있다면 이해를 향해 노력할 수 있다. 칭찬의 말이 너의 영혼을 밝히고 말의 변화가 생각의 변화를 유도한다. 나이가 들어가는 내 몸은 헌 몸이 아니라 '정든 몸'이고(29p, 헌 몸과 정든 몸), 도둑고양이는 '이웃고양이'로 새롭게 불리며 가까운 이웃이 되며(266p, 도둑에서 이웃으로), 등단한 친구를 '시인'이라 부르며 자랑스럽게 웃는다(108p, 나는 너의 시인). 카피라이터이자 만화가, 시인으로 활동하는 그녀는 언어애호가이자 '창작노동자'이다. 누구보다 언어에 예민하고, 말의 맛을 음미하며, 단어를 가지고 즐겁게 놀 줄 아는 사람.

언어애호가의 언어생활을 즐겁게 따라가다 가장 마음에 들어왔던 말은 '아꼬와'였다. 아꼽다는 제주 방언으로 귀엽고 사랑스럽다는 의미로, 작가가 첫 조카를 처음 본 순간 떠올린 말이다. 아꼬와, 아꼬와, 아까워, 네가 닳아 없어질까 아까워, 신생아실에 누워 있는 팔뚝만 한 크기의 내 아이, 겨우 3kg의 생명이 나와 같은 심장을 가지고 숨을 쉬고 있다는 생각에 함부로 안기도 조심스러웠던 그때의 감정을 이 단어가 정확히 관통했다.

우리는 한때 오름이처럼 '아꼬운'사람이었다. 너무 여리고 귀해서 시선에도 닳아 없어질까 아까운 존재였다. 인간이 인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경이의 산증인이었다. 그저 그 있음만으로 파장을 일으키는 황홀이었다. 가끔 세상살이에 지쳐 아무도 나를 아끼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 때면 이 마음을 떠올려야겠다. 분명 누군가는 어린 나를 바라보며 "아꼬와, 아꼬와"했을 테니까. 같은 책, 107쪽


아이를 보며 '아꼬와, 아꼬와' 외친다거나, '나래바'같이 내 집에 나만의 이름을 붙인다거나, 취미 비용을 교육비라 명명하며 스스로를 양육한다는 선언으로 보듬어 안기 같은 언어 생활은 부정적이기 쉬운 자아를 변화시킨다. 언어를 갈고 닦고 말을 고르고 고르며 나 자신을 갈고 닦고 새롭게 고른다. '나는 좋아해'라는 말로 나의 취향을 긍정한다.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져서 집 꾸미는 일이 좋아, 마스크 덕에 외출 준비가 간편해져서 좋아, 우는 아이를 달래 좋아하는 과자를 먹으며 웃는 얼굴을 들여다보는 게 좋아, 아이를 돌보고 글을 쓰는 내 '투잡'이 좋아, 이 책이 좋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