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처럼 문지 스펙트럼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니엘 페나크의 [소설처럼]은 소설이 아니다.

그러나 나에게는 이 책이 판타지 소설처럼 다가왔다.

문학 시간에, 책에 흥미라고는 1도 없는 아이들에게,

한 시간 내내 소설을 소리내어 읽어준 것만으로도,

소설을 스스로 찾아서 읽게 된다니? 이 꿈만 같은 이야기.

 

작년에 나는 독서 강사라는 이름으로 한 중학교에서 수업을 한 적이 있었다. 권장도서 목록의 책들을 학생들이 읽게 한 뒤 독후감 쓰기나 독서 퀴즈 등으로 평가하는 방식의 수업이었다. 물론, 아이들은 책을 읽지 않았다. 중학생 권장도서 중 하나인 생텍쥐베리의 [어린 왕자]를 앞에 두고 학생들은 "이걸 왜 읽어야 해요?" "중2병 같아요."라는 말을 아무렇지 않게 했다. 나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무엇인가가 잘못되었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라!"명령하는 데 익숙한 우리에게, 이 책은 첫문장부터 낯설다.

 

'읽다'라는 동사에는 명령형이 먹혀들지 않는다.

 

나는 책을 읽는다. 일주일에 평균 세 권, 많이 읽을 때는 하루에 한 권씩 읽는다. 어디를 가든 가방에 반드시 책 한 권을 챙긴다.

사람들은 내게 묻는다. 왜 그렇게 많은 책을 읽으시나요?

나는 대답한다.

재미있으니까요.

이 책이 말하는 핵심이 여기에 있다.

이야기는 재미있다. 동화는 환상적이다. 우리는 어렸을 때 부모님이 읽어 주던 동화책의 세계에 기꺼이 몸을 내던졌다. 글자를 깨우치고 스스로 읽게 되면서 부모님 몰래 밤을 새서 책을 읽기도 했다. 나는 [해리 포터]시리즈를 처음 읽었던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지금은 사라진 분당의 한 서점에서 책을 집어들고 그 자리에 서서 두 시간 넘게 해리 포터를 읽었다. 그때 시리즈 2편까지 나왔었고 나는 그날 밤을 샜다. 책을, 소설을 읽느라.

 

이를테면 소설이란 무엇보다 하나의 이야기라는 사실을 까맣게 잊고 있었다. 소설은 '소설처럼'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 말해 소설 읽기란 무엇보다 이야기를 원하는 우리의 갈구를 채우는 일이라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151쪽)

 

학교 현장의 독서 교육은 근본적으로 잘못되어 있다. 소설을 소설처럼 읽게 허락하지 않는다. 하나의 지식처럼 딱딱하게 굳혀 부스러진 조각들을 먹이며 빨리 소화시키라 명령한다. 그리고 한탄한다. 요즘 애들은 왜 책을 안 읽는지! 그런 뒤 책 대신 스마트폰을 꺼내든다. 

우리는 잊고 있었다.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독자의 권리, 책을 읽지 않아도 되고 어떤 책을 읽어도 상관없고 골라 읽고 거꾸로 읽고 소리 내어 읽고 아무렇게나 해석할 수 있는 권리 열 가지를 잊고 있었다는 사실을 잊었다. 

 

 

 

 

 

 

독서는 명령이 불가능하다. 우리는 스스로 읽는다.

독서는 수동태가 아니다. 우리는 능동적으로 읽는다.

학생들 앞에서 이 말을, 독서 수업 시간이 되면 저 독자의 권리를 칠판에 커다랗게 쓴 뒤 읽고 싶은 책을 실컷 읽는 그런 날이, 올까?

 

[소설처럼]을 읽으며 소설처럼 그 날을 상상한다.

 

#문지스펙트럼 #문지스펙트럼서포터즈 #소설처럼



출처: http://koalachocolate.tistory.com/176 [코알라초콜릿]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