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모든 무수한 반동이 좋다 - 26가지 키워드로 다시 읽는 김수영
고봉준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1년은 김수영 작가가 탄생한 지 100년이 되는 해였다. 한겨레에서는 '거대한 100년, 김수영'이라는 타이틀로 6개월간 김수영 작가의 작품에 관한 평론 26편을 연재하였고, 김수영 작가의 작품 <거대한 뿌리>의 한 구절, '이 무수한 반동이 좋다'를 타이틀로 한 이 책은 그 연재분을 모은 책이다. 시를 잘 읽지 않고, 5-60년대 문학에 대해 잘 모르는 나에게 김수영이라는 시인은 그저 교과서에서 만났던 시 '풀'의 작가, 참여 시인, 이란 막연한 이미지로만 알고 있던 분이다.

책은 키워드별로 주요 시대를 파악하여 시간 순서대로 편집되어 있다. 탄생과 일제 강점기, 한국 전쟁기, 구수동 거주 시기, 4.19혁명 이후와 같이 말이다. 26개의 키워드 중 <기계>와 <자유>, 그리고 <죽음>편을 가장 재미있게 읽었다. (아니, 실은 제일 마지막의 '대담'이 가장 좋았을지도...) 가장 뜨악했던 부분은 노혜경 시인이 쓴 <여혐>편이었다. 김수영 작가에 대해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이 '여혐'문제라고 한다. 확실히 <죄와 벌>같은 시는 용납하기 어려운 내용을 담은 시였다. 김수영의 이러한 면을 노혜경 시인은 '60년대를 짊어지고 그가 감당해야 할 숙명'이라고 말한다. 또 뒤편의 대담에서 이경수 교수님께서는 "김수영 시의 여성 혐오 문제는 피하거나 그 자체에만 천착할 것이 아니라, 김수영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이 어떤 것인지를 돌아보고 들여다볼 수 있어야 한다. 여성을 대상화하는 김수영의 시들이 문제적인 이유는 그것이 지나간 과거, 그 시절엔 그랬지라고 웃어넘길 수도 있는 과거가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환기되는 혈실이기 때문에 그런 점에서 김수영의 어떤 유산을 어떻게 계승할 것인지 치열하게 논의해야 한다"라고도 말한다. 이제껏 김수영은 '너무 우상화'되며 자유롭게 읽히기를 금지당해왔지만 이제는 독자들이나 연구자들이 좀 더 자유로워져야 한다고, 새로운 독자들에 의해 새로운 김수영이 발견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이 책을 통해, 잘 알지 못했던 김수영 작가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제, 새로운 김수영 작품의 독자가 되어 새로운 김수영을 발견하는데 함께 해야겠다.

박인환 작가와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챕터 마지막에 "야아 수영아, 훌륭한 시 많이 써서 부지런히 성공해라!"라고 외친 박인환 작가의 말을 읽으며, 문득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마지막 장면이 떠올랐다. "좋은 소설을 쓰시오."라고 말해주던 구보의 벗의 말과 박인환 작가의 말이 겹쳐진다. 박태원이 살았던 일제 강점기, 그리고 김수영, 박인환 작가가 살았던 한국전쟁 이후의 시대. 모두 살아내는 것만으로도 벅찼을 그 공포의 시기에 '좋은 소설, 훌륭한 시'를 쓰기 위해 쓰자며 응원을 나누던 벗과 함께 글쓰기를 멈추지 않았던 문인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그간 나의 한국 문학의 관심사는 3-40년대 경성의 문인들, 그리고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2000년대 이후 작가분들에 국한되어 있었다. (훌쩍 뛰어넘어버린 시간 속의 윤오영 수필가님, 황순원 작가님, 그리고 박경리 박완서 작가님 정도는 관심을 가지고 작품을 찾아 읽기는 했다.) 한국전쟁에서부터 민주화운동까지, 그 지난한 한국 현대사를 외면하고 싶었던 마음이 그 시대의 작품과 작가들을 덩달아 외면하게 만들었던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며 한국 문학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이젠 더 이상 외면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책을 읽고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