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존감의 여섯 기둥 - 어떻게 나를 사랑할 것인가
너새니얼 브랜든 지음, 김세진 옮김 / 교양인 / 2015년 6월
평점 :
스스로 자존감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면,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어 몸살이 난다면,
자꾸만 인간관계에 문제가 생긴다면, 부정적인 생각에 골몰한다면, 사랑받지 못할까 두렵다면,
아니, 그냥 더 행복해지고 싶은 열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은 마음이다.
"궁극적으로 이 책이 요구하는 것은 행동이다. "자기(self)는 포기하거나 부정당해서는 안 되며, 실현되고 축복받아야 한다."
(...) 이 책은 가능성에 관한 이야기이다."
자존감이란 이렇게 정의된다.
"자존감은 자신이 삶에서 마주하는 기본적인 도전에 맞서 대처할 능력이 있으며, 행복을 누릴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내적 경향이다." (p61)
자존감이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떤 특성을 보이게 되는지를 열거하면 끝도 없다.
그냥 나쁜 것은 다 자존감이 낮아서이고, 좋은 것은 자존감이 높아서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어둠은 어둠을, 빛은 빛을 불러들이"듯(p30), 건강한 자존감은 좋은 관계를, 그렇지 못한 자존감은 해로운 관계를 맺게까지 한다니,
자존감의 영향력은 끝없는 순환구조를 지닌 듯하다.
문제를 느낀다면, 악순환을 선순환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하다.
"관계에 실패하는 원인은 열정적이고 낭만적인 사랑의 꿈이 본질적으로 불합리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러한 꿈을 지탱할 만한 자존감이 없는 탓이다." (p33)
이해를 돕기 위한 사례들은 지극히 현실적이어서, 지금은 작고한 1930년대생 작가가 1994년에 쓴 책이라는 게 감탄스러울 정도다.
32쪽부터 38쪽까지의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의 사랑법" 역시 기막히다.
사랑이 실패할 거라는 불안에 휩싸인 나머지 그것을 자초하고, 그 현실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 입증되었다며 만족하게 되는 것.
"행복에 대한 불안" 역시 인상깊다.
질투를 두려워 하며, 스스로 행복할 자격이 없다는 생각에 골몰하는 사람들.
"행복은 그저 환상에 불과해. 모두 행복하지 않은데 왜 내가 행복해야 해?" (p37)
물론 타인을 향한 "파괴적 질투"(p39)에 휩싸이는 경우도 있다.
그 어느 것이든, 자존감의 문제로 귀결된다.
"자존감은 높거나 낮거나 모두 자기 충족적 예언을 낳는다." (p43)
"자기 개념은 운명이다. 아니,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기 개념은 운명이 되기 쉽다." (p44)
"낮은 자존감은 행복과는 정반대되는 상황으로 자신을 몰아간다." (p47)
저자는 긍정적 자존감을 "의식의 면역 체계"(p49)라고 설명한다.
또한, "지나치게 건강하거나 지나치게 강한 면역 체계"란 없듯, 과도한 자존감은 없다고 단언한다.
과시, 자랑, 오만 등은 오히려 자존감의 결핍을 의미한다는 것.
"(...)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신을 파괴하지 않고 행복을 감당할 수 있는 용기이다. 이 용기는 행복을 두려워하지 않게 하고, 행복이 자신을 파괴하지 않으리라는 (그리고 행복이 사라지지 않아도 괜찮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줄 것이다.(pp37-38)
자존감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순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지만, 그러나 많은 것을 실현할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강조한다.
세계가 급격하게 변하고 있으므로 삶의 선택지가 어느 때보다 다양하다는 현실 진단은 지금의 한국과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의식적으로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일이 많아질수록 자존감 욕구는 더 절박해진다"(p57)는 결론을 거부할 이유는 없을 듯하다.
자존감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여섯가지 실천 방법이 나온다.
기본 교과가 되어도 좋겠다고 생각할만큼, 인상깊은 책이다.
책은 이렇게 끝난다.
"이러한 헌신에 필요한 에너지는 오직 우리가 우리의 삶을 사랑하는 데서 나온다.
이 사랑이 바로 미덕의 출발점이다. 삶에 대한 사랑은 우리가 지닌 최고의 열망, 가장 고귀한 열망을 위한 발판이 된다. 또 이것은 여섯 실천을 추동하는 원동력이다. 이것이 바로 자존감의 일곱 번째 기둥이다."(p481)
<자존감의 여섯 기둥 - 너새니얼 브랜든(나다니엘 브랜든), 김세진 옮김/ 교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