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롤리데이 사장님이 감명깊게 읽었다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인주의자 선언에 언급된 전문가의 행복 착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
양다솔 지음 / 놀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젊은이라 칭하려니 내가 팍 늙은 느낌이다. 아무튼 요즘 사람들 수다에 빠질 수 있다. 가족사, 여행기, 취미, 옷입기 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순서없이 들어있다. 시간 순으로 나열했으면 뭔가 그에 대해 계속 짜맞추고 기억해야 할 것 같은데 그런 부담은 없다. 시간 순이 아니라서 그런가, 술술 읽히기 보다 오히려 이전엔 또 무슨 얘길까 매 편 귀를 기울이게 된다. 얼마 전 이슬아의 책도 읽었는데, 그의 이야기도 나와서 발견하는 재미가 있었다. 스님이 된 아빠 이야기에서는 왠지 마음이 쓰리다.

게중에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가난해지지 않는 마음>과, <내가 때린 할아버지들> 이었다. 마케팅용 미니북으로 읽은 두 편의 임펙트 때문에 이 책을 본격적으로 펼쳤다. 이 청년과 나의 공통점이라면 세상의 기준에서 백수라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직업은 없지만 그래도 뭔가를 하고는 있다. 것도 아주 열심히. 그래도 가난하게 살되 기왕이면 그처럼 얼음에 팥과 콩가루를 잔뜩 넣고 비벼먹거나, 봉숭아로 손톱을 물들이며 살고 싶다. <내가 때린 할아버지들>은 작년에 전기차 충전이나 주차, 운전을 하면서 맞닥뜨린 폭압적인 중년 남성들에 분노한 경험을 떠올리게 했다. 작가처럼 성적인 문제는 아니었지만 염치없이 당당하고 폭압적인 점, 물리쳐도 또 비슷한 상대가 등장한다는 점이 똑 닮았다. 나도 처음엔 얼이 빠진채 그들을 그냥 흘려보냈다가, 나중엔 미친개처럼 대들었다. 소녀스러운 면, 귀여운 구석이 있다는 말도 가끔 듣는 내가 미친개처럼 날뛰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개소리를 쳐지르니 화가 쌓이고 몸이 안 좋아졌다. 나도 기다리지 않으면서, 그것들을 기다린다. 나는 반성하기도 했다. 아무도 안 그러는데 너무 나댄걸까. 반면 양다솔은 쿨하다. 돌아보기 보다는 시원하게 그 길을 간다.

절벽의 텐트에서 사는 막연한 느낌이라지만, 양다솔은 치열하게 살고 있다. 한번 뿐인 인생 왜 그렇게 살아? 요즘 젊은이가 내게 외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애하는 나의 집에게 (리커버) - 지나온 집들에 관한 기록
하재영 지음 / 라이프앤페이지 / 2020년 12월
평점 :
품절


집, 사는 곳, 삶의 그릇, 동네, 도시계획, 아파트 등을 키워드로 삼아 주거 공간에 대한 책을 찾다가 집어든 책이다. 이 외에도 아주 많은 책들을 함께 빌렸고, 그 모두가 손에 꼽을 만큼 마음에 든다고 생각했기 때문에(도서관에선 두 손에 꼽을 수 있을 만큼만 대출을 해주고 있다) 게중에 완독하고 반납하는 건 결국 늘 일부에 불과하다. 아파트 한국 사회를 읽다가 이 책은 무얼 말하나, 싶어 펼쳐 들었다. 뒷면에 무려 정희진 작가와 김하나 작가가 쓴 추천글이 있어 이미 범상치 않음이 짐작되었다.

내가 이사 온 곳, 그리고 신비롭고도 안타까운 시선으로 늘 바라보는 북성로에서 작가는 첫 삶을 시작했다. 이후 서울에 가서는 고작 몇 평밖에 마련할 수 없는 지방출신의 자취생으로서의 거친 삶을 지났다. 이후엔 아파트없는 풍경을 즐길 몇 안 남은 서울의 공간인 부암동으로 작가는 집을 옮겼다. 그는 그 곳에서 긴 세월 사랑하던 개 피피를 묻었다. 그리고 개에 관한 책을 쓴다. 그는 처음에 집에 대한 이야기를 쓰려고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집에는 그의 삶들이 켜켜이, 깊이 묻어있을 수 밖에 없었으며, 그 집에 살던 때의 작가의 여리고도 따뜻한 마음이 베어 있었다.

건축과 교수들은 집을 ‘삶을 담는 그릇’이라 가르친다. 건축을 ‘공학’보다는 ‘인문학’쪽에 두려는 생각도 많이 느껴진다. 작가는 건축학과는 아니더라도 집이 사람에게, 삶에 있어 얼마나 켜켜이 영향을 미치는지 본인의 삶을 그때 그때 살던 집과 연관해 이야기를 풀어낸다. 자전적 에세이를 집이라는 큰 기둥을 중심으로 풀어낸 방식이 건축과 교수들의 그 가르침을 몸소 증명해 보이는 듯 하다.

작가는 마지막에 들어간 집에 처음 살던 북성로 집 분위기를 현대적으로 재현했다. 그 집의 구석구석엔 가족이 손봐준 곳이 있고, 할아버지의 유품도 있다. 그 장소나 물건을 보며 작가는 순식간에 시간여행하듯 어릴적 그 곳에 가 있다.

나도 중학생때 이후 살았던 곳에 아직 부모님이 살고 계신다. 한참만에 그 집에 갔을때 솔직히 지겹도록 변치않는다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은 낡긴 했지만 혹여나 없어질까 애틋하고 포근한 집이다. 그 집 베란다 창문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햇살을 보노라면 창문 너머 하교하던 아이들을 힐끗거리던 햇살 따스한 오후의 중학생으로 돌아가곤 한다.

작가는 지금 집을 ‘안온하다’ 했다. 집이 이래야만 한다는 어떤 특징이 있다면 바로 ‘안온함’일 것이다.
우리는 지금껏 돌아갈 곳을 남겨두지 않고 떠나기만 했던 건 아닐까. 나와 부모님, 강아지, 어린 시절의 나, 그 때의 감정은 그 옛 곳에 있건만 옛 집으로 돌아갈 수 있는 사람은 몇 남아있지 않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용실의 뉴스브런치 추천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