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깻잎 투쟁기』는 한국 사회의 농업 이주노동자의 노동 인권 실태를 밝힌 이주인권 활동가 우춘희의 르포 작품이다. 저자에 따르면 한국 사회가 이주노동자 없이는 존속할 수 없게 됐는데도, 그들의 노동 현실은 참혹하다.

한국은 구한말의 하와이 농업이민과 60-70년대 파독 광부·간호사(간호조무사), 80년대 사우디에 간 건설노동자들의 땀과 눈물을 이미 잊었나. 그때 외국으로 일하러 간 한국인들과 지금 한국에서 일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들이 무엇이 다를까.

전태일 열사가 지금 시대에 살았더라면 차별받으며 일하는 이 땅의 이주노동자들과도 기꺼이 연대하지 않았을까.

정부는 이주노동자를 일손이 필요한 곳에 데려다가 채우는 ‘인력 수급 정책‘의 대상으로만 본다. 오로지 어떻게 농촌의 부족한 인력을 채울지 골몰하며, 일하는 사람은 온데간데없고 수요와 공급의 숫자에만 관심을 쏟는다. 이주노동자가 어떤 곳에서 사는지, 얼마나 오랫동안 일하는지, 최소한의 인간적인 대우를 받기는 하는지, 그 실상에는 별로 관심이 없다. 이들이 다치거나 죽어서 본국으로 돌아가면 다시 이 빈자리를 채울 노동자를 ‘인력 수급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데려오면 그만인 듯하다.

특히 이주인권단체 ‘직인의 정류장‘을 찾아갔을 때 거기서 많은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대부분 20대 초중반인 그들은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 온 농업 이주노동자들이었다. 전남 담양 딸기밭, 경남 밀양 고추밭, 충남 논산 토마토 농장, 경기도 이천 유기농 계란 농장, 경기도 여주 돼지 농장, 강원도 철원 파프리카 농장 등 이주노동자들은 다양한 곳에서 우리의 먹거리를 책임지고 있었다. - P10

그들이 전한 이주노동 현장은 참혹했다. 장시간 고된 노동을 강요하며 법으로 정한 최저 시급도 주지 않았다. 몇 달 치 임금을 체불하는 사례도 많았다. 노동자들이 일하는 밭 바로 옆에 있는 비닐하우스나 컨테이너가 그들의 기숙사였다. 그 안에는 화장실도 없어 노동자들은 비닐하우스 밖으로 나가 재래식 화장실을 이용한다고 했다. 사업주의 언어폭력과 성폭력을 호소하는 노동자들도 많았다. 이 모든 일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수년째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그런데 그보다 더 놀라운 건 그들의 이야기와 삶이 우리 눈에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 P11

쓰레이응 씨, 니몰 씨, 짠나리 씨와 소팔 씨 모두 운이 좋지 않아서 임금 체불을 당한 것이 아니다. 쓰레이응 씨는 2020년 기준으로 임금 체불을 당한 이주노동자 31,998명 가운데 한 명이었다. 많은 이주노동자가 임금을 받지 못하고 일했다. 정보공개 청구로 얻은 고용노동부의 자료에 따르면 미등록 이주노동자를 포함한 전체 이주노동자의 임금 체불 현황은 다음과 같다. - P89

연도별로 살펴보면 매년 임금 체불을 신고한 이주노동자 수와 임금 체불 금액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임금 체불을 신고한 노동자 수는 2016년 21,482명에서 2020년 31,998명으로 5년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임금 체불 금액은 2016년 686억원에서 2020년 1287억 원으로 5년 만에 1.9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 통계에는 미등록 이주노동자도 포함되어 있지만, 대체로 미등록 이주노동자는 임금 체불이 발생하면 불안정한 체류 지위 때문에 고용주에게 문제 제기를 하기보다 사업장을 떠나는것을 선택한다. 따라서 신고하지 못한 임금 체불 금액까지 합하면 임금 체불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P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