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만 보고 '나 정치에 관심 없어' 할 수도 있는데 그게 아니다. 이건 여당이냐 야당이냐, 국민의 힘이냐 민주당이냐 정의당이냐, 보수냐 진보냐를 따지는 책이 아니다. 그런 이야기는 여기에 안 나온다. 이건 아이와 엄마가 더 살기 좋은 세상을 위해 분투하는 엄마들의 이야기다. '정치하는엄마들'이 이야기하는 정치는 권력 투쟁의 도구가 아니라 때로는 싸우고, 때로는 대화하고 타협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엄마에게도, 아빠에게도, 아이를 키울 생각이 없거나 결혼 생각조차 없는 사람들에게도 이 책을 권한다. 엄마들이 만든 시민단체 '정치하는엄마들'은 말한다. '우리 모두가 엄마다' 라고. 그러니 성별·젠더, 결혼·출산 유무와 상관없이 나도 엄마라는 생각으로 이 책을 읽으면 좋겠다.

조성실: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지향하는 이 세대의 엄마들에게는 아이도 중요하고 자신도 중요해요. 그런데 (정부에서) 그것이 병행 가능한 구조로 만들고자 하려는 노력이, 그런 관점이 부족했다고 생각해요. 결국에는 비용을 지출하는 방식으로만 한 거죠. "너희가 아이를 안 낳아? 그럼 돈을 줄게." 근데 사실은 그게 아니라 체계를 만들었어야 해요. 공공성이 있는 체계를 만들고, 개인에게 부모가 될 시간을, 아이에게 부모를 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두 가지 관점에서 비용 지출이 돼야 하는데 그냥 어떤 행정을 했다, 이런 입법을 했다, 라는 생색내기 식에 그쳤기 때문에 지금까지 쓴 예산이 거의 낭비가 된 것 같아요. 보육 정책 경우에도 이미 너무 벌여놔서 손대기가 어려울 정도거든요. 안 쓰니만 못한 부분도 많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 P308

이고은: 사실 저출산이 문제가 되는 건 ‘생산 가능한 노동 인구가 감소한다‘의 차원이잖아요. 저출산과 동시에 고령화도 함께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 사회에 접어들면서 나이 드신 분들이 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고민한다면 저출산이 과연 정말 문제일까, 하는 의문도 들어요. 그렇게 결과적으로 생산 가능한 인구가 줄어들지 않는다고 하면 저출산이 문제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요. 또 현재 위기에 처해 있는 사람들이 인간답게 살면서 삶의 균형을 찾을 수 있는 사회 구조라면 애 낳지 말라고 해도 낳지 않을까요. 지금 비출산을 선택한 사람들을 사회에 기여하지 않는 사람처럼 보는 시선도 문제인 것 같아요. 결론은 저출산 문제는 인구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라는 겁니다. 인간 삶에 대한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자연스럽게 저출산 문제도 해결되지 않을까, 뭐 이런 나이브한. (웃음) - P30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