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라는 단위에 대해 『물결』2021년 여름호에서 한승희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소개한다. 인간 동물에게 적용할 수 없는 단어는 비인간 동물에게도 쓰지 않을 것. '암컷 원숭이 한 마리' 대신 '여성 원숭이 한 명'이라고 쓸 것. 한승희의 글에서 윤나리는 이렇게 말한다. "수를 세는 단위인 '명'은 현재 '(名)이름 명' 자를 쓰지만, 종평등한 언어에서는 이를 '命(목숨 명'으로 치환해 모든 살아 있는 존재를 아우르는 단위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44쪽)



조금 전에 책에서 이슬아의 글을 보기 전부터 나는 이미 '물고기'는 왜 물고기라고 불리는지 궁금했다. 분명히 아직 살아있고, 고기가 되지도 않았는데, '물'고기라니 너무 잔인한 말이라고. 그치만 '물고기' 대신에 뭐라고 불러야 하나 마땅히 떠오르는 게 없었는데 '물살이'라는 말이 있었다니. 참 예쁜 말이다. 그래서 국어사전에 물살이를 검색해봤는데, 이미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하지만 한 가지 낱말에 여러 뜻이 있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도 대부분 다의어다. '물살이'와 비슷하게 생긴 말로 '한해살이'라는 말이 있다. 국어사전에서 뜻을 찾으면 '봄에 싹이 터서 그해 가을에 열매를 맺고 죽는 일 또는 식물'이라고 되어있다. 그렇다면 비슷한 이치로 물살이가 지금은 물에서 사는 것 자체를 의미하지만, 여기에 뜻 하나를 덧붙여서 물에서 사는 동물을 넣어도 무방할 것 같다. 초록창에서 검색을 좀 더 해보니 고려대 국문과 신지영 교수도 자신의 칼럼에서 '물고기' 대신 '물살이'를 제안한다. 나도 내가 온라인상에서 '물고기'라는 말을 쓸 필요가 있을 땐 대신 '물살이'라는 말을 써야겠다. 다만 그렇게 쓰면 소통이 안 될 수도 있으니까 '물살이(물고기)'이런 식으로 괄호 치고 같은 말임을 표시해야겠지.


그런데 '물고기' 단어의 적절성과는 별개로, 내가 예전부터 강하게 문제 의식을 품은, 사람들의 취미가 있다. 바로 '낚시'라는 취미. 나는 비건이 아니다. 언젠가는 비건이 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아직은 아니다. 그렇지만 내가 아무리 여전히 고기를 먹고, 생선을 먹는 사람이라고 해도 '낚시'가 과연 생업이 아닌 취미가 되어도 되는가 하는 점은 의문이었다. 고기를 먹는 사람이든 아니든 재미로 생명을 해쳐서는 안 된다는 점은 우리의 보편적인 상식이다. 


그런데 낚시를 취미로 삼는다는 점은 나의 즐거움을 위해서, 재미로 '물살이(물고기)'의 생명을 빼앗는 거 아닐까? 근데 그게 현대인의 건전한 취미 생활로 인정이 되고, 낚시를 소재로 한 방송이나 예능이 되는 건 문제가 아닐까. 그런 의문을 지닌 지는 10년도 훌쩍 넘은 것 같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낚시가 취미인 사람들이 나쁜 사람들이라고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앞으로는 바꿔가야 할 문화가 아닐까. 어쩌면 '물고기' 라는 이름 때문에 물에 사는 고기를 낚을 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되어버린 것 같기도 하다. 하긴 옛날에는 사냥이 지배층의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취미였던 시절도 있었다. 어떤 행동이 옳으냐 그르냐는 문화가 결정한다. 앞으로의 문화는 비인간 생명을 더 존중하는 문화로 나아갔으면 좋겠다.



'마리'라는 단위에 대해 『물결』2021년 여름호에서 한승희는 다음과 같은 대안을 소개한다. 인간 동물에게 적용할 수 없는 단어는 비인간 동물에게도 쓰지 않을 것. '암컷 원숭이 한 마리' 대신 '여성 원숭이 한 명'이라고 쓸 것. 한승희의 글에서 윤나리는 이렇게 말한다. "수를 세는 단위인 '명'은 현재 '(名)이름 명' 자를 쓰지만, 종평등한 언어에서는 이를 '命(목숨 명'으로 치환해 모든 살아 있는 존재를 아우르는 단위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45쪽)


그리고 이 글귀에도 전적으로 지지한다. 다만 나 같은 경우는 '원숭이 한 명' 이렇게 쓰기보다는 한 원숭이, 두 원숭이 이런 식으로 쓸 것 같다. 사람은 '한 사람', '두 사람' 이렇게 쓰는데, 원숭이라고 '한 원숭이' '두 원숭이' 라고 쓰지 못할 이유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 그건 이미 지금도 그렇게 쓰고 있기도 하고. 그 편이 더 자연스러워 보인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물론 어떤 표현은 자연스럽고, 어떤 표현은 자연스럽지 않다고 느끼는 마음도 시대 변화에 따라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옛날엔 '별로 좋다'라는 말이 자연스러웠지만 지금은 비문이 되었고, 원래는 부정적인 말에만 쓰였던 '너무'를 지금은 '너무 좋다'라는 말처럼 긍정적인 말에도 쓰는 것처럼. 그러니 '원숭이 한 명'이 지금은 이상해 보여도 종차별적인 언어를 바로잡으려는 이들의 노력으로 언젠가는 자연스러운 말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된다면 난 기꺼이 시대 변화를 따라갈 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