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건 후천적인 영향이 클지라도 호르몬은 전적으로 선천적으로 주어진 거라고 생각했는데, 호르몬도 태어난 후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니 신기하다.


그러나 실제로 대부분의 과제에서 남성과 여성의 뇌 활성도 패턴이 비슷하다는 점이 발견되어, 이 차이를 찾으려 했던 많은 연구가 실패했다. 차이점을 찾았다는 연구도 특정한 과제를 수행하는 아주 일부 뇌 영역 기능에서만 차이가 나타난 사례다. 문제는 대부분의 ‘유사점‘은 보고되지 않고 ‘차이점‘만 과학계와 대중매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는 사실이다. - P31

그 뒤 이어진 다른 많은 연구는 다양한 언어 관련 과제 수행에서 남성과 여성의 뇌 활성도 차이를 일관성 있게 보여주지 못했다. (…) 논란을 잠재우려는 시도로 네덜란드의 위트레흐트대학병원University Medical Center Utrecht에서 이 주제와 관련된 26개의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 분석‘을 실시했다. 그리고 2008년 학술지 <브레인 리서치Brain Research>에 언어 처리 과정에서 증명된 성별 차이는 없다는 결론을 발표했다. 주요 언론에서 이 분석의 결과에 대해 본 적이 있는가? 나는 보지 못했다. - P33

흥미롭게도, 갓 태어난 여자 아기와 남자 아기의 뇌의 구조와 기능은, 남자 아기의 뇌 전체 크기가 평균적으로 6퍼센트 큰 것을 제외하고는 별 차이가 없다. 그렇다고 이것이 나중에 성인이 되어 나타나는 성별 차이가 미리 정해져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사춘기가 되기 전에는 남자와 여자의 가슴 모양에 차이가 없지만, 성장하면서 달라지는 점을 생각해보면 된다. 그러나 태어난 후 살면서 생기는 뇌의 성별 차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살면서 획득하는 남자와 여자의 경험 차이를 많이 반영한다. - P38

예를 들면, 여자들이 평균적으로 남자아이들보다 언어적 검사에서 뛰어나다. 이 사실을 두고, 이렇게 어린 나이에 특성의 차이가 드러나는 것은 선천적인 성별 차이를 보여준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아기에게 말을 하는 것이 언어능력 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고, 부모들이 아들보다 달에게 말을 더 많이 한다고 밝혀졌다. 그렇다면 여자아이들의 우월한 언어능력이 그들의 성별 때문인지, 아니면 그들이 받은 양육 방식의 차이인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 P40

심지어 성호르몬 같은, 성별 자체의 어떤 측면까지도 젠더의 영향을 받는다. 남성성의 생물학적 ‘정수‘라고 흔히 생각되는 테스토스테론의 혈액 수치는 많은 외부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그중 일부는 젠더와 관련 있다. 경쟁이 테스토스테론의 수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현대사회에서는 아직도 남성에게 경쟁에 참여하기를 권장하지만 여성에게는 경쟁을 말리는 경우가 많다. - P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