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 년 전에 살았던 공자는 말했다. '통치자는 재화의 많고 적음보다는 고르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 라고. 공자에 비하면 비교적 최근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간디도 그와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지구는 인간의 필요를 충족하기엔 넉넉하지만, 욕망을 채우기엔 모자라다고 했던가? 그런데 하물며 인류의 생산력이 그때보다 상상할 수 없이 엄청나게 성장한 지금에야 더 말해 무엇할까. 전 세계의 식량이 남아돈다는 건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 빈부 격차의 문제는 분배의 공정성이다. 생산력을 향상시키는 기술보다는 분배를 잘할 수 있는 기술과 정책이 더 절실하지 않을까.

썩어가는 오물 문제를 조금이라도 분석해보면 인간 배설물 외에 다른 쓰레기도 포함시켜 고려해야 함을 알게 된다. 인간이 만들어내는 엄청난 배설물에 더해 미국의 모든 가정과 학교, 회사, 병원에서 버려지는 과일과 채소 등의 음식 찌꺼기, 정원의 가지치기에서 나오는 쓰레기 등을 합하면 매년 8,000만 톤의 유해 폐기물이 발생한다. 모든 OECD 국가에서 발생하는 이런 폐기물의 양은 연간 1억 5,000만 톤에 이르고 나머지 국가들까지 다 합하면 매년 4억 톤에 가까운 양이 된다. - P110

전 세계 폐기물의 엄청난 양은 여러 가지 면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식량의 양에 맞먹는다. 곳곳에서 낭비되는 곡류의 양은 인도에서 필요로 하는 연간 곡물 공급량과 비슷하다. 매년 버려지는 과일과 채소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가 필요로 하는 과일 및 채소의 양과 비슷하다. 테니스화를 주문하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창고에서 24시간 안에 발송을 해주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러니 제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식품을 재분배하는 일이 불가능하다고 말하지는 말기를 - P111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은 숫자 자체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엄청난 양의 식품이 곯다가 썩어가지만 그 이상의 문제가 있다.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에는 엄청난 비극이 담겨 있다. 매일 거의 10억 명이 배를 곯는 동안 또 다른 10억 명은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먹일 수 있는 음식을 망쳐버린다. 우리는 먹을 의도가 전혀 없는 음식에 숲과 깨끗한 물과 연료를 걸고 도박을 하는데, 매번 그 도박에서 지고 있다. 우리 입맛에 봉사하기 위해 이 지구에서 짧은 시간 머물다 가는 셀 수 없이 많은 식물과 동물을 무의미하게 멸종시켜버렸다. - P112

음식물을 쓰레기 매립지에 던져 넣을 때 우리는 그냥 칼로리 덩어리를 던져 넣는 것이 결코 아니다. 다른 사람의 생명의 던져 없애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풍요에 대한 무자비한 추구에 이끌린 결과, 우리가 공허하고 소모적이고 명백한 빈곤의 한가운데로 향하고 있음을 명백하게 드러낸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