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고양이와 문제아 - 제6회 푸른문학상 동시집 시읽는 가족 7
김정신 외 지음, 성영란 외 그림 / 푸른책들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도둑고양이와 문제아>>, 이 동시집에 실린 동시들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사람들, 익숙한 공간들, 무심히 보고 지나치는 것들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일부러 감동을 주려고 노력하지도 않고, 애써 꾸미지도 않고, 담백하고 솔직하게 .... 그 덕분에 동시를 읽는 동안 빙그레 웃다가, 깔깔거리기도 하고, 고개를 주억거리고, 가슴이 뜨끔하여 반성도 했다.

나뭇잎에 달린 빗방울 보고 동생이
"엄마, 나뭇잎에 눈물이 달렸어!" 하면
"나무가 슬픈 일이 있나 보네."
하며 동생 등을 토닥여 주는 엄마

방충망에 달린 노린재를 보고 내가
"엄마, 노린재가 나랑 놀고 싶으가봐!" 하면
"너, 공부 안하고 뭐 하니!"
하고 소리 지르는 엄마  ('나만 미워하는 엄마' 중에서, 곽해룡)


이 동시를 읽으며 나는 가슴이 뜨끔했는데, 우리 아이는 "맞아, 맞아! 내 말이 바로 이거라니까"라고 하지는 않았을런지 ... ^^;

"사발시계를 켜 두면
일어날랑가........"

상추 싹 나오기를
애타게 기다리시는 할아버지.

밤사이 씨앗들 깨어났는지
이른 아침이면
비닐하우스 둘러보더니

오늘 아침엔
파릇파릇한 웃음지으며
들어오신다.

"이제야 꼬물꼬물 올라오네.
고것들 참......" ('상추 키우는 할아버지', 유은경)

첫째 아이가 학교에서 강낭콩, 들깨, 아욱 씨를 뿌리고서는 "아직 싹이 안 났어요.", "싹이 났어요.", "이만큼 자랐어요.", "강낭콩 잎을 벌레가 먹어버렸어요."라며 매일매일 얘기를 했던 일이 생각났다. 첫째 아이도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며 공감하는 듯~.

자꾸 읽다 보니 나도 동시 한 편쯤 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글쓰기에는 영 재주가 없는 나도 이런 생각을 하는데, 세상 모든 일이 신기하고 재미있는 아이들은 직접 써보겠다고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