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더스의 개>>는 ... 내가 초등학교 다닐 적에 TV 애니메이션으로도 보고, 책으로도 여러 번을 읽었었다. 어떤 때는 재미있게, 어떤 때는 마음 졸이며 보다가, 마지막에 가서는 눈이 빨개지도록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난다. (한 번은 학교에서 책을 읽다가 얼마나 울었던지 ... 다른 아이들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책을 세운 채 그 속에 머리를 파묻고 울기도 했었다.)

우리 첫째 아이는'플랜더스의 개'를 학교에서 애니메이션으로 보고는 감상문을 적었는데 ...
마지막 장면을 볼 때마다 울었던 엄마와는 전혀 다른 관점으로 감상문을 적었다.

[2007년 11월 25일, 초등 3, 용이의 감상문]

이 이야기에 나오는 네로는 주위의 비난에도 이겨내고 정직하게 살아간다. 또 가난이라는 벽도 우유 배달로 잊을 수 있었다. 파트라슈는 영리하고 충직한 개다.

하지만 왜 그 당시에는 일을 그림 그리는 것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그림 그리는 사람을 게으름뱅이라고 여기는지 모르겠다. 내가 생각하기엔 그림 그리는 것도 일하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책에 그런 내용이 있었나? 뜻밖의 감상문이다.

아이가 책도 읽어볼 거라고 한다. 책을 읽은 후에는 어떤 생각을 할지, 어떤 독후감을 쓸지 궁금하다. (가능하면 완역본을 찾아 읽어보라고 해야겠다. 나도 다시 읽어보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