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르트르와 카뮈 - 우정과 투쟁
로널드 애런슨 지음, 변광배.김용석 옮김 / 연암서가 / 2011년 7월
평점 :
‘허어억~~ 끝났다.’ 절로 터지는 탄식 한마디를 내뱉고는, 냉큼 거울 앞으로 가서 초췌한 몰골을 확인했다. 그리고는 스스로에게 수고했다는 의미로 냉동실에 있는 아이스크림 한 자루를 입에 물고서는 신음을 뱉으며 대자로 뻗었다. 이 책을 읽고 난 나의 반응이다. 찌는 듯한 도시의 폭염 아래 굼뜨게 빌빌대는 뇌 때문에 몸만 늘어지게 되는 책이었달까.
‘얼마나 깊게 보느냐’에 따라 책에 대한 평이 판이해 질 수 있는 서적이라고 생각한다. 더욱이 깊게 보는 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한 책이다. 그러나 나, 분수도 모르고 만만하게 봤다가 큰 코 다친 격이다. 전후 격동의 시기에 대한 관심이 좀 있다고 해서, 사르트르와 카뮈의 작품을 좀 읽어봤다고 해서 이 책이 술술 넘어가지는 않는다. 사르트르 전문가가 이 분야에 관한 자신의 모든 전문지식을 이 책에 정열적으로 쏟아 부었기 때문이고, 어느 정도의 기반이 잡혀있지 않다면 감을 잡기 힘들 정도로 역사의 크고 작은 맥들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2004년에 이 책이 출간될 당시 저자인 에런슨 ‘카뮈와 사르트르’라는 제목을 쓴 것으로 보이지만, 역자들은 “요즘은 세계적으로 ‘민주화’가 중요한 시점이므로 ‘사르트르’의 이름을 ‘카뮈’의 이름보다 앞에 두었다”고 말한다. (p. 8) 뭐하는 짓일까 싶다. 전체적인 책의 내용만 보자면, 이 책은 결단코 카뮈의 이름이 뒤에 놓여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역자가 ‘사회적 이해’를 고려해서 이름의 순서를 바꿔 넣었다는 것에, 저자에 대한 월권을 범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은 총 10장으로 되어있다. 이 책에 3장인 ‘전후의 참여’에 도달하는 동안 나는 이 책을 들고 5번은 졸았다. 처음부터 예상보다 지루하다. 이 책의 주요 특징 중에 하나는 ‘중복언급이 지나치다’는 것인데, 프롤로그와 1장 2장은 벌써부터 그런 조짐을 많이 내비치고 있다. 특별히 1장의 ‘첫 만남’은 말 그대로 첫 만남만 좀 다뤄주지, 주제에 맞지 않는 내용들로 장황하다. 2장까지는 그들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이 이루어진다. 이들 상황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거나 다 읽기 바쁜 이들은 그냥 3장부터 읽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다.
간단요약하자면, 카뮈와 사르트르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레지스탕스운동을 통해 관계를 맺는다. 문제는 해방이 되면서 시작된다. ‘폭력’.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 폭력을 동반해야 하는 공산주의에 대해 카뮈는 다른 문고리를 잡았다. 전쟁에는 ‘깨끗한 손’만 사용하고, 폭력은 최후의 수단으로써만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 194) 그래서 카뮈의 ‘이상주의’는 고독한 자리에 앉았다.
사르트르는 폭력과 혁명의 선택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변화를 지향하는 새로운 정치노선에 들어선다. 공산주의를 더 나은 것으로 만들기 위해, 그것을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면서 세계변화라는 계획에 참여하기 위해서 공산주의의 악행들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결정했다. 저자는 사르트르가 공산주의의 유혹에 굴복했던 주요한 이유는, 정확히 공산당이 노동자들을 대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p. 361)
카뮈가 쓴 <반항적 인간>은 사르트르를 노골적으로 무시했고, 여기에 사르트르는 삼류기자의 비판적인 서평으로 카뮈에게 응수했다. 이 사건은 둘을 반목하게 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그리고 둘을 침묵기로 이끄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결국에 저자가 이 불화에 대해 내리는 정의가 이 책에서 놓칠 수 없는 중요한 대목이 되고 있다.
그들 각자는 자신들의 정치적 사유 체계의 주요 주제가 되었던 폭력에 대해 자기기만적 태도 속에 빠져 있었다. (p. 469)
책은 역사적 상황과 맞물린 두 철학자의 의식 흐름을 밀접하고 디테일하게 전개하고 있다. 배경에 대한 설명의 범위가 크고, 그 내용이 자세하다. 그리고 전문적이기에 읽다가 지칠 수도 있다. 두 철학자의 주요쟁점이었던 ‘폭력’이라는 주제에 관해 깊이 있게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는 책이다.
폭력은 폭력을 양산할 뿐, 어떠한 명분으로도 폭력은 용인할 수 없는 제거 대상 그 자체라는 생각이다. 현재 북아프리카에서 일어나고 있는 민주화의 바람이 아무리 숭고한 목적을 지녔다고 해도, 그것이 무고한 생명의 가치 위에 있을 수 있나. 목적이 정당하기 위해서는 수단 또한 정당해야 마땅한 것이고, 생명에 위협이 없는 한 폭력은 어떠한 이유에서도 정당함을 인정받을 수 없다는 생각이다.
맥을 잡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하나의 주제로 이루어진 장 안에 구분점이 명확치 않게 설정되어있다는 점이다. 분명한 분류법으로 체계적인 정리를 해주었으면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지 않았을까 싶었다.
나는 이 책을 비전문인의 무지한 시각에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두 철학자들의 서적이나 기고문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보다는 식빵 한 조각 입에 구겨넣듯 입만 벌리고 꾸역꾸역 넘겼다. 그런 아쉬움은, 카뮈와 사르트르의 서적을 더 많이 접하고 그 시대에 관한 공부를 좀 더 깊게 함으로써 달래고 싶다. 다시 이 책을 펼쳤을 때는 더 많은 부분에서 저자와 공감하며 끄덕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