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글을 리뷰란에 썼다가 알라딘 서평담당자에게서 전화가 왔다. 출판사에서 판매에 해가 된다고 항의를 해서 내 글을 지우겠다는 것이다. 명목상으로는 책을 읽고 쓴 리뷰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물었다. 딱 봐도 리뷰도 그렇고 출간일도 그렇고 출판사의 조작이 분명한데, 오히려 독자검열이 필요한 것 아니냐.. 오히려 상줘야 되는 것 아니냐고..
그랬더니 리뷰 조작이라는 심증은 가지만 물증은 없단다. 출판사에서 딱 잡아뗀다는 것이다. 그래도 나의 글을 보고는 칭찬일색이던 리뷰 2개를 삭제했다고 했다. (그래서 내가 아래글을 쓰던 오전에는 포토리뷰 포함 3개였는데 지금은 포토리뷰 하나만 남았다) 앗, 지금 다시 보니 없어졌던 리뷰 하나가 또 보이는걸?
어쨌든 리뷰에 썼던 이 글을 페이퍼로 옮겼다. 페이퍼니까 뭐라고 안하겠지... 아래는 문제의 그 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는 인터넷 서점의 신간서적란을 많이 들락거리고 책구입에 도움을 받지만, 귀차니즘 때문에 거의 서평을 쓰지 않는다. 그런데 이 책은 읽지도 않고 서평을 쓰게 만들었다.
왜? 독자를 바보로 아는 출판사에 대한 분노 때문이다. 읽지도 않은 책에 대해 안티세력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서평은 책 내용에 대한 것이 아닌, 이 출판사의 마케팅 조작에 관한 것이다.
사실, 이런 식으로 마케팅하면 책이 아무리 좋다 할지라도 읽고 싶지 않다. 독자를 물로 보는가?
출판계의 도덕이 땅으로 떨어졌다는 이때, 이런 식으로 흙탕물을 더할 건 뭔가...?
이 서적, 몇주째 계속 yes24 신상품 문학리스트의 맨 위를 차지하고 있다.
왜냐? 2006년 11월에 책이 나왔으면서 출간일을 2007년 3월30일로 써놓았기 때문이다. (왜? 6개월 채우지?)
공식출간일보다 4개월+반달을 먼저 출간하는 법이 어디 있는가?
그 덕분에 계속 yes24의 문학 신간리스트의 맨 위를 차지하고 있다. yes24가 출간일 순으로 신간을 배열한다는 것은 알라딘과는 달리 하나의 취약점이다.
왜냐하면 출간일이 늦은 책들은 등록을 일찍 해도 계속 신간리스트의 맨 위를 차지해서 사람들의 눈에 오래 띄고 출간일이 빠른 제품들은 첫 등록시에도 리스트 중간쯤에 위치해서 사람들 눈에 띄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이용하는 출판사도 종종 보인다. (알라딘은 등록일 위주의 신간리스트를 보여주기 때문에 이 출판사의 잔꾀가 잘 먹히지 않고 있다. 알라딘의 시스템, 칭찬할 만하다. 그런데 등록일 순인데도 요즘엔 이상하게 새로 올라온 책이 신간리스트 뒤쪽에 올라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서적은 yes24의 그 점을 십분 이용했을 뿐 아니라 상품평도 노골적으로(머리가 나쁜건지. 이렇게 극명하게) 도배를 했다.
알라딘에는 이 책 란에는 리뷰가 겨우 3개, 근데 원래 리뷰가 별로 없기로 유명한 yes24에는 이 책 리뷰가 26개이다.
서적의 판매지수 등으로 미루어볼 때 yes24에 26편의 서적review 가 올라온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
베스트셀러들도 yes24에는 그정도 수의 리뷰가 올라오는 법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또, 책을 읽는 사람중에 리뷰를 올리는 사람만 줄창 올리지 안 올리다가 갑자기 딱 한 권에만 리뷰를 올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나도 그렇지만... 또 아무리 훌륭하다는 책들도 별로라는 리뷰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책의 회원review 올린 사람들의 과거 리뷰를 보면, 다들 전혀 리뷰를 올린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리뷰라고는 올리지도 않던 사람들이 책이 등록되자마자, 11월20일부터 12월8일까지 반달간 집중적으로 26편의 리뷰를 올린다는게 말이 되는가?? 게다가 몽땅 칭찬일색!
알라딘에 올린 3편의 리뷰도 다들 리뷰초짜들이 올린 것이고, 칭찬 일색이라 비슷한 의심이 가기는 하지만...
책 자체는 읽지도 않았지만 이런식의 마케팅으로 볼 때 책 자체의 내용까지도 의심스럽게 느끼게 한다.
사람들이 신간서적리스트의 맨 위쪽, 책 리뷰수와 평점을 보고 구입하는 점을 십분 이용한 것으로 독자를 오도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출판사인지 작가인지) 이런 식으로 플레이하는 책들은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출판계의 공정한 경쟁이 가능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