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말을 간추려 보면 "네 잘못이야."와 "잊어버려." 이 두 마디인 셈이지요. 하지만 나는 둘 다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어떻게 도둑맞은 게 도둑 잘못이 아니라 도둑맞은 사람 잘못일 수 있나요?
그리고 억울한 일을 어떻게 금세 잊어버려요? 나는 어머니, 아버지를 사랑하지만 이치에 안 맞는 말까지 받아들일 수는 없습니다. - P31

"나무하고 장작 패는 일은 제가 할게요."
우리 아버지는 마음이 넓은 분인데, 가끔 안 그럴 때도 있는 모양입니다. "윤수야, 넌 여자가 왜 그러니? 누가 너더러 그런 일하래?"
나는 놀랐습니다. 아버지 입에서 "여자가"라는 말이 나올 줄은 정말 몰랐거든요. 아버지도 어쩔 수 없는 ‘꼰대‘라는 걸 진즉에 알았어야 했나 봅니다. - P58

한 어린이를 키우는 데는 온 마을이 필요합니다. 착한 사람, 말썽꾸러기 등 여러 이웃과 마을 사람은 물론이요, 강아지와 소, 병아리도 필요합니다. 길, 강, 들, 산, 논밭 역시 있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문학 작품에도 온마을이 살아 있어야 생명력이 오래갈 수 있고, 넓은 공감을 얻게 됩니다. - P100

나는 오늘을 사는 어른들에게 말해 주고 싶습니다. 가끔은 아이들을 귀여워하며 ‘바라보지‘만 말고, 그 삶과 마음속으로 ‘들어가‘ 보라고요. - P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