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1 - 동양의 마음과 상상력 읽기, 중국편
정재서 (지은이) | 황금부엉이

하은이가 학교에서 빌려온 책
몰랐던 이야기이다.
서양신화만 알고 있는 보통 사람들에게 동양의 매력을 충분히 알려주는 책이다.
평이한 문체에 다양한 자료 사진과 그림들이 이해를 도와준다.
그러나 처음 부분은 몰입하기가 어려웠다. 뭐라 그럴까? 책의 독자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느낌이랄까?
글 중간 중간에 서양 신화하고 비교 또는 대응하는 내용을 삽입하고 있는데 그것이 이해를 돕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2005/10/27 오후 7:12 | 읽은 책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 원제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2004)
잭 웨더포드 (지은이), 정영목 (옮긴이) | 사계절출판사

남편이 사온 책이다.
칭기스칸이 부족을 통일하고 세계를 정복하고 운영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것을 읽고 있으면 몽고인 특히 칭기스칸이 무척 위대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조만간에 칭기스칸의 리더십 운운하는 실용서가 나오는 것이 아닐지 모르겠다.

알려진 것처럼 몽고인들이 잔인하지도 않았고, 정복자로서 피정복민을 학대한 것도 아니라는 것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그 시대적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사실 그 이야기에는 다른 책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유럽인들이 얼마나 야만적이고 잔인한 행위를 많이 했는데, 아마 지금 관용을 주장하고 나름대로 인권을 강조하는 것은 그런 역사적인 경험이 있어서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칭기스칸을 시작으로 한 몽고인의 정복으로 인해 유럽이 근대로 가는 눈을 떴다는 주장이다. 아마도 그럴 것이다. 전쟁의 참화없이 그런 혁신에 접할 수 있었다는 점이 행운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표지가 있으니 훨씬 책이 근사해 보인다. 도서관에서 빌린 것이라 북자켓이 없다.

 바르톨로메오의 학살인가 하는 사건을 통해서 또, 노스트라다무스 영화, 여왕 마고라는 영화에서 잠깐 언급하는 아주 나쁜 여인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더랬는데, 그리고 얼마 전에 읽었던 [엘리자베스 여왕]에서도 잠깐 읽었다.

  카트린 드 메디치의 일생을 사료를 통해서 새롭게 평가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후반부는 다 못 읽었다. 프랑스 궁정과 그 당시의 유럽 정세를 아주 자세하게, 그리고 재미있게 서술하기는 하지만, 할 일이 뒤에서 압박하는 와중에서는 몰입이 힘드네. 언젠가 시간이 나면 다시 읽을 수 있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특한 구성이다. 화자가 바뀌면서 이야기를 진행한다. 제일 첫번째는 '나는 시체입니다' 였던가?

 이야기의 배경이 오스만투르크 제국이고 등장인물은 세밀화가들이다. 이 세밀화가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이슬람 세계와 그 세계의 문화를 조금은 이해할 수 있었다. 그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사람 사는 세상은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같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그 상황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고 대처하느냐가 문화적인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것이지 싶다. 아! 할 일은 많은데, 이것을 읽느라고 반쯤은 정신을 놓고 있었다. 결말을 알고 싶어서 책을 그만 읽지를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년 10월 16일

  에코의 서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왜 이런 황당한 제목을 붙혔을까?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주제로 하여 아홉명의 학자들의 글을 모아놓은 것이다. 나름 재미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읽는데 진도가 영 안나간다. 몰입이 힘들다. 혹시 나중에 도서관사 수업이나 그에 걸맞는 주제를 다룰 때 참고도서로 이용할 수는 있겠지만 오늘은 더 이상 못 읽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