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다닐 때였던가? 삼중당 문고 였던가 아니면 무슨 전집 중 하나였던 [오만과 편견]을 읽었던 기억이 있다. 소설을 읽기 시작해서 끝까지 다 못 읽은 책은 거의 없다.  건너뛰면서라도 읽은 것도 읽은 것에 포함해서. 지금 기억하기로는 전쟁과 평화와 오만과 편견이 도중에 그만 둔 소설이다. 결국 제인 오스틴의 다른 소설 읽기도 포기했었다. 그런데, 왠일인지 제인 오스틴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는 국내 개봉하면 다 보았던 것 같다. 소설 읽기는 힘들었지만 이야기 자체는 내 취향에 맞는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지난 토요일에 딸애와 함께 영화를 보았다. 남편과 아들 아이는 일이 있어서 둘 다 아침부터 나갔고, 점심도 먹고 들어오기로 했기 때문에 내 취향에 맞는 영화를 보기에는 아주 좋은 기회였다. 사실 영화관에 갈때부터 오만과 편견을 보기로 한 것은 아니었지만 개봉하면 보려고 마음 먹고 있었기 때문에 영화관에 가서 상영을 하고 있길래 다른 영화가 무엇을 하는지 보지도 않고 그것을 보기로 했다.

영화 보기 전에는 약간 지루하게 전개되지 않을까하는 예측을 했지만 막상 시작하니까 그렇지 않았다. 당시의 영국의 시대상을 아주 재미있는 관점에서 전개하고 있어서 재미있었다. 게다가 영화를 다 보고 나니 원작을 읽어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특히 마음에 들었던 점은 오해가 너무 꼬이거나 비틀리지 않아서 좋았다. 서로에게 솔직하게 물어보고 그에 대한 대답을 들을 기회를 서로에게 주었다는 점이 아주 마음에 든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이 영상화하기에는 좋기 때문에 영화화가 많이 되는 것 같다. 이야기 전개도 많은 사람들의 꿈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고. 제인 오스틴 원작의 영화들 중에서 이것이 제일 재미있었다. 다시 보고 싶다. 큰 화면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놓고 처음 보는 것 같다. 새로 19인치 모니터를 구입한 기념으로 보았다.

 아이들은 프로도가 나오는 장면은 재미없어라 한다. 그것을 보니까 내가 반지의 제왕 책을 처음 볼때 프로도가 모르도르로 가는 장면을 무척 지겨워하면서 읽었던 생각이 났다. 그런데 이제 나도 나이를 먹었는지 그 장면이 지겹지는 않고 더 마음이 애잔하다. 물론 다른 주인공들이 나오는 장면이 더 역동적이 재미있는 것은 나도 마찬가지이지만. 아이들과 또 다른 점은 전투 장면에 좋아라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칼 맞는 것이 나라면 하는 생각을 하면 끔찍하다. 모든 폭력적인 장면에서 왜 맞는 사람한테 감정이입이 되는지 모르겠다.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내가 때리는 경우보다는 맞게 될 확률이 높아서일까? 아무튼 징그러운 인물들이 엄청나게 등장하는 장면은 별로다.

벌써 영화를 극장에서 본지 오래되어서 그런지 영화를 보는 내내 새로운 것을 보는 기분이 들었다. 동시에 원작을 다시 한번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에오윈 공주를 한 배우가 참 잘 어울리는 것 같다. 그리고 길지는 않지만 파라미르와 에오윈이 치료소에 있는 장면이 나온 점이 아주 마음에 든다. 내가 원작에서 마음에 드는 인물이 파라미르였기 때문이기도 할거다. 파라미르 뿐 아니라 자신의 천분을 잘 알고 있는 인물을 선호하는 취향이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틀 동안 읽은 책.

  무엇보다도 인상 깊은 것은 장 시작에 인용된 문구들이다. 나름대로 의미도 있지만 본문 내용과도 연관이 있으니까. 그런데 작가는 어떻게 그런 적절한 문구를 다 찾을 수 있었을까?

 모스 경감은 매력적인 인물인 모양이다. 모스 경감에게 매혹 당하는 여자들은 왜 그럴까?

이 책을 읽으면서 옥스포드를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나오는 거리들을 가면 아주 친숙한 느낌이 들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사람이 사는 곳은 어디나 비슷한 곳이며 사람이 맺는 기본적인 관계도 다 이해할 만한 수준인 것 같다. 추리 소설이 다 그렇지만 의외의 인물이 범인이기도 하고 사건의 진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뜻밖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두 책 모두 어느 정도는 범인과 사건의 윤곽을 짐작할 수 있었다. 사람이 살인을 저지른다는 것은 늘 생각하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은 것 같다. 조금만 생각을 덜하면 자신의 분노에 휘둘리기 쉽기 때문이다. [숲을 지나가는 길]이 내용으로 보면 [사라진 보석]보다 나중의 사건인데 왜 이런식으로 번역본을 내는지 모르겠다. 

모스 경감도 그렇고 다른 등장 인물도 그렇지만 고상한 취미를 가졌다고 해서 생활방식이 늘 고상한 것은 아닌 것 같다. 나는 이상한 편견을 많이 가지고 사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이 학교 추천도서 목록에 있는 책을 검색하다가 우연히 찾게된 책인데 재미있다. 이 책외에도 고대, 르네상스가 있더라.

 아이들에게 말하듯이 서술한 문체이고 내용도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남성 중심의 역사에서 새로운 관점을 보여줄 수 있을 듯 하다. 그런데 한 장이 끝날 때마다 있는 더 생각해보기 같은 형식이 원서에도 있는 것인지 궁금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선덕여왕을 기술하는 부분은 어디서 인용한 것인지도 무척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킹 아더] 재미있게 봤다. 특이한 아더왕 전설에 대한 해석이라고 할까?

[천군] 내가 상상했던 것과는 다른 전개였지만 특이하고 재미있었다. 시대 상황에 절망한 이순신을 다시 일어나게 한 이야기

[베니스의 상인] 극장에서 보고 싶었는데, 금방 내려서 못 봤었다. 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배우들 연기도 훌륭하고, 의상도 멋있고, 배경도 볼 만했다. 이야기도 재미있는데 요즘 취향이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