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공주 / 조지 맥도널드

조지 맥도날드의 다른 이야기들보다는 훨씬 가볍고 쉬운 이야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이라는 주제를 잘 전달하고 있다. <공주와 고블린>, <공주와 커디>, <북풍의 등에서> 같은 이야기는 책의 부피도 만만치 않고 교훈적인 내용도 적지 않다. 물론, 이야기를 끌어가는 능력은 탁월하다고 생각한다. 어떤 교훈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재미가 없다면 읽을 수 없을텐데 그점에서는 탁월하다. 

무엇보다도 가벼운 공주가 저주를 벗어나게 된 과정이 왕자의 희생적인 사랑을 깨달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무척 감동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할머니 이야기 / 수지 모건스턴, 세르주 블로흐(그림), 최윤정(옮김)

 

이것은 아이들이 읽을 책이라기 보다는 어른이 읽으면 더 감동을 받을 것 같다.  일생을 되돌아보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런 방식도 있구나 싶다.  노년이란 얼마나 쓸쓸하며, 젊은 사람들은 절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준다. 하지만 이것도 인생의 한 과정이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나름대로 덜 불행하지 않을까 싶다.

작가의 작품을 너무나 좋아하는데, 이 작품 역시 마음에 든다. 간결하면서 본질을 명쾌하게 이야기해 주는 솜씨는 정말 부럽다.

삽화도 정말 멋지다. 책에 글과 함께 아주 큰 역할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 1 - 동양의 마음과 상상력 읽기, 중국편
정재서 (지은이) | 황금부엉이

하은이가 학교에서 빌려온 책
몰랐던 이야기이다.
서양신화만 알고 있는 보통 사람들에게 동양의 매력을 충분히 알려주는 책이다.
평이한 문체에 다양한 자료 사진과 그림들이 이해를 도와준다.
그러나 처음 부분은 몰입하기가 어려웠다. 뭐라 그럴까? 책의 독자가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느낌이랄까?
글 중간 중간에 서양 신화하고 비교 또는 대응하는 내용을 삽입하고 있는데 그것이 이해를 돕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2005/10/27 오후 7:12 | 읽은 책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 원제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2004)
잭 웨더포드 (지은이), 정영목 (옮긴이) | 사계절출판사

남편이 사온 책이다.
칭기스칸이 부족을 통일하고 세계를 정복하고 운영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것을 읽고 있으면 몽고인 특히 칭기스칸이 무척 위대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조만간에 칭기스칸의 리더십 운운하는 실용서가 나오는 것이 아닐지 모르겠다.

알려진 것처럼 몽고인들이 잔인하지도 않았고, 정복자로서 피정복민을 학대한 것도 아니라는 것을 저자는 강조하고 있다. 그 시대적 관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사실 그 이야기에는 다른 책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유럽인들이 얼마나 야만적이고 잔인한 행위를 많이 했는데, 아마 지금 관용을 주장하고 나름대로 인권을 강조하는 것은 그런 역사적인 경험이 있어서가 아닐까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칭기스칸을 시작으로 한 몽고인의 정복으로 인해 유럽이 근대로 가는 눈을 떴다는 주장이다. 아마도 그럴 것이다. 전쟁의 참화없이 그런 혁신에 접할 수 있었다는 점이 행운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표지가 있으니 훨씬 책이 근사해 보인다. 도서관에서 빌린 것이라 북자켓이 없다.

 바르톨로메오의 학살인가 하는 사건을 통해서 또, 노스트라다무스 영화, 여왕 마고라는 영화에서 잠깐 언급하는 아주 나쁜 여인이었다고 생각하고 있었더랬는데, 그리고 얼마 전에 읽었던 [엘리자베스 여왕]에서도 잠깐 읽었다.

  카트린 드 메디치의 일생을 사료를 통해서 새롭게 평가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후반부는 다 못 읽었다. 프랑스 궁정과 그 당시의 유럽 정세를 아주 자세하게, 그리고 재미있게 서술하기는 하지만, 할 일이 뒤에서 압박하는 와중에서는 몰입이 힘드네. 언젠가 시간이 나면 다시 읽을 수 있으려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