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의 기이한 옛이야기
완서 지음, 박희병 옮김 / 돌베개 / 2000년 12월
평점 :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나열하면 다소 낯설어 보여도 사실 우리의 고막이 꽉 붙들고 있는, 우리에게는 너무나 친숙한 금오신화의 개별 이름이다. 시대가 변해 바다가 육지가 되는 세상에도, 시대가 변해 사람이 날아다니는 세상에도 여전히 우리의 정서를 자극하는. 만화로 봐도, 영화로 봐도, 책으로 봐도 너무나 친숙한 금오신화. 한국인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 주는, 우리나라만의 골계 원천이다.
이런 금오신화가 베트남에도 보란 듯이 있다는 사실에는 나의 눈이 한없이 휘둥그레진다. 물론, 우리나라 금오신화도 중국의 그것에 영향을 받아 창작되었다고는 하지만, 베트남에도 우리의 금오신화 같은 것이 있다는 점은 선뜻 떠올리기가 힘이 든다. 우리나라의 그것이 너무 돋보여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도 아쉬운 지금, 저기 베트남에서도 베트남 판 금오신화가 있다는 사실은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기 싫어 아망을 부려 서인지도 모르겠다.
비록 금오신화가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고는 하나, 그것은 우리의 정서에 더욱 알맞게 각색되었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그러기에 우리에겐 더욱 소중하고 더욱 우리의 정서에 부합하는 게다. 그렇다면 베트남의 그것도 마찬가지일터이기에, 우리의 궁금증은 더욱 무럭무럭 발하게 된다. 베트남에서 살아 숨쉬고 있다는 그것은 과연 무엇인가?
<전기만록>. 이것이 완서가 지었다는 베트남 판 금오신화로, 그 역시 옛날의 신비한 이야기를, 소박한 이야기를 앙증맞게 배에 품고있는, 우리나라의 금오신화와 그 맥을 같이 하는 작품이다. 그리고 여기, 앙증맞게 품고 있던 이야기 꾸러미를 조심스레 한국으로 옮겨 놓은 것이 바로 <베트남의 기이한 옛 이야기>이다.
우리가 베트남에 대해, 지리는 물론 환경, 역사, 인물까지 상당히 낯설다고는 하지만, 이 <베트남의 기이한 옛 이야기>는 전혀 낯설지 않은, 오히려 너무나 친숙한 우리의 글을, 우리의 정서를 보는 듯하다. 지명과 인물만이 조금 다를 뿐. 권선징악적 구조하며, 허무맹랑하지만 왠지 인정해주고 싶은, 그 소박한 소설의 상황구조는 우리나라의 그것과 별반 다를 것이 없었다. 우리가 중국의 고전문학을 보며 거의 이질감을 느끼지 않듯, 베트남의 <전기만록>도 전혀 이질감이 느껴지지를 않는다. 베트남의 기이한 옛 이야기, 사실은 우리의 이야기라 해도 큰 손색이 없는 터였다.
하지만 베트남의 기이한 옛 이야기에 실린 작품들은 그 하나 하나가 좀 짧다는, 뭔가 좀 모자라다는 느낌이 들었다. 분량만으로써가 아닌, 독자가 몰입해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수 있는 그 깊이가 우리나라의 그것과 비교했을 때는 좀 떨어진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그런 생각은 곧 흥미에 전염이 된다. 우리나라처럼 전해져 내려오며 조금씩 각색되고, 좀 더 흥미로워 지고, 그래서 한 부분 한 부분이 더욱 흥미롭고 궁금함을 자아내는 상황은 별반 연출되지를 않았다. 다분히 교훈적인 내용인 것은 매한가지지만 깊이와 흥미에서는 그 차이가 컸다.
비록 우리나라의 금오신화와 비교했을 때는 그 흥미가 떨어지지만, 베트남이라는, 문학적으로는 다소 생소한 나라의 작품이 이렇게 우리의 정서와 들어맞는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경험이긴 했다. 저기 저 멀리 살던 그 때 그 사람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소박한 즐거움을 즐길 줄 알았구나. 저기 저 멀리 살던 그 때 그 사람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소망을 가지고 살고 있었구나는 애절한 느낌.
그 시대 고전을 읽으면 그 시대 사람들의 마음가짐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소박하던 민중들의 애환과 기쁨을 읽어내듯 여기 <베트남의 기이한 옛 이야기>에서도 베트남, 그 들만의 심중을 들여다 볼 수 있을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