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와 초승달, 천년의 공존 - 그리스도교와 이슬람의 극적인 초기 교류사
리처드 플레처 지음, 박흥식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십자가와 초승달, 그 천년의 공존>은 지금 기독교와 이슬람을 보면 결코 화해하거나 함께할 수 없을 것 같은데 “공존”이라는 말을 쓸 정도로 함께 했었던 두 종교의 초기 역사가 궁금해서 보게 된 책이다.


책의 저자는 두 종교가 관계를 맺었던 초기 역사에 대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하고 있었다.  우선 두 종교가 차이를 보이는 부분 부터 짚어가며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었다. 그리고 아브라함이라는, 하나님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어디에서부터 편견이 시작되어 멀어지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있었다. 단순히 초기 두 종교간의 역사적인 사실들 뿐만 아니라 각 종교의 경전, 즉 꾸란이나 성서의 내용을 통해서 서로의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서로를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었다. 

이후로 이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한때 패권을 잡았던 이슬람과 그 이후의 몰락, 그리고 반대로 패권국으로 등장하는 기독교의 유럽 국가들을 통해 서로의 모습을 가감 없이 보여주고 있었다. 그 가운데 갖게 되는 서로간의 편견과 굳어지는 오해 속에 이어져 내려오는 오늘날의 현실. 저자가 이야기하는 평화와 공존의 가치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초기 역사에서, 기독교와 이슬람교 간의 협력과 공존했던 역사를 발견한다고 해서 지금도 그와 비슷한 역사를 되풀이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일부 극렬한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테러로 인해 다른 이슬람 교도들이 낙인효과로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것인가, 일부 극렬한 기독교 근본주의자들로 인해 이슬람에 대해 고쳐지지 않는 잘못된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왜 이렇게 서로의 이야기가 상충되는 것인가. 그렇다면 서로 무장 해제를 해야 하나? 그렇다면 누구부터 해야 하나?

책을 통해 초기 이슬람과 기독교의 교류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과 저자가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로를 알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었던 점은 큰 점수를 주고 싶다. 하지만 저자도 질문에 질문을 이어 가다 보면 다시 처음으로, 서문의 이야기로 돌아가게 된다고 말하고 있었는데 결국 두 종교간의 갈등은 결국 풀리지 않을 미제로 남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