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득의 심리학 -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법칙 설득의 심리학 시리즈
로버트 치알디니 지음, 이현우 옮김 / 21세기북스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설득의 심리학이 제시한 여섯 가지 불변의 법칙을 내 멋대로 포장을 한 풀 벗겨 정의 내려 보았다. 상호성의 법칙-사심 가득한 제공. 일관성의 법칙-자기 합리화를 위한 재해석. 사회적 증거의 법칙-줏대 없는 인간의 단면. 호감의 법칙-보기 좋은 떡만 취하려는 얄팍함. 권위의 법칙-경쟁 사회를 부추기는 强者 증후군. 희귀성의 법칙-끝까지 버리지 못하는 소유욕. 나는 포장된 언어에 이골이 난, 네거티브한 독자임에는 틀림없다.--;

 

심리학 교수 로버트 치알디니가 마치 재미 있는 옛날 이야기라도 들려 주듯 술술 풀어가는 유쾌한 심리 이야기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반응 해야 한다.와 같이 매뉴얼적 기술에 그쳤다면, 금방 지쳐 책장을 덮어 버렸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통한 유추와 함께, 저자가 직접 겪은 체험담도 묘사되어 있어 읽는 내내 지루함을 떨쳐버릴 수 있었다. 아니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 질 수가 있지? 상식적으로 전혀 이해가 안돼.라는 의구심을 여섯 가지 법칙을 통해 풀어보려는 저자의 노력에 살짝 감탄해 본다.

 

늘 내 머리 속을 떠나지 않는 인간에 대한 회의가 있다. 그들은 어떻게 거짓으로 웃을 수 있는가. 그들은 왜 주는 순간 받는 것을 계산하는가. 그들은 어째서 삐까 뻔쩍한 옷차림에 등이 굽는가. 어찌하여 예쁘고 잘생긴 사람에게 관대한가. 왜 서열을 매겨 분리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가. 기타 등등. 이러한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회의는 사회에 발을 딛고 나가면 나아갈수록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비단, 타인에 대한 경계만이 아닌 내 자신에 대한 질책을 포함해서 말이다. 원래 인간은 그런 동물이고, 그것에 적응해 나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라고 한다면 할 말 없는 건가?

 

결국 이 책 속에 제시된 여섯 가지 법칙이 인간에 대한 회의를 대 놓고 제시하고 있음을 나는 무시하지 못하겠다. 그리하여 저자가 제시하는 자기 방어 전략이 별로 크게 와 닿지 않는다. 혹자는 불로 소득자 퇴치용 지침서로 받아 들이는 이도 있을 테지만, 내게는 그저 인간의 이중성을 폭로한 실험 보고서로 느껴진다고 한다면 너 심각한 우울증이다.병원 가봐라…’라는 충고를 날릴 텐가? ㅋㅋㅋ

 

그러나 나는 이 책의 가치를 높이 사고 싶다. 좋은 정보를 주었다는 측면보다는 그간 답답하게 곪아 버린 내 의구심들을 시원하게 긁어 터트려 준 것만 같은 묘한 통쾌함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물론, 통쾌함과 똑 부러진 해답은 다른 것이다. 나는 아직 내 물음에 대한 해답을 건져내지 못했고,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한 내 노력만큼이나 타인에게 무참히 설득 당하며 우울한 삶을 영위해 나가고 있을 것이다. 참 슬픈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