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인 이야기 7 - 악명높은 황제들 ㅣ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7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8년 11월
평점 :
아우구스투스이후 티베리우스, 칼리쿨라, 클라우디우스, 네로 이렇게 4인의 황제를 다루고 있다. 악명높은 황제들이라는 부제를 달고있긴 하지만, 최근의 여러 해석 등으로 티베리우스와 클라우디우스는 꽤 괜찮은 운영을 했다고 한다.
티베리우스는 자신에게 엄격했던 만큼, 원로원이 그만큼 국가를 위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염증을 느껴 카프리섬에 은둔해서 국정운영을 했다. 그때문에 여러 반감을 사고 감정이 안좋았지만 국정운영 자체는 아주 잘했다고한다. 원로원에 대한 티베리우스의 감정은 아마 본래 공부를 잘하던 사람이 공부못하는 아이 과외할때 느끼는 심정과 비슷하지 않았을까 상상을 했다. 묵묵하게 아우구스투스의 기반을 더욱 든든히한 황제란 인상으로 꽤 호감이 갔다.
칼리쿨라는 인기가 있었던 게르마니쿠스의 아들로 상징적인 존재이기도 해서 열광적인 지지로 시작을 했지만 악정과 재정파탄 등으로 암살을 당하고 짧은 치세기간을 누렸다. 유명한 이름이지만 황제로서의 치세는 짧았기 때문에 조금 의외였다고나 할까. 배를 이어서 바다위를 전차로 달렸다는 사실이 미워할 수 없는 바보라는 느낌이다.
클라우디우스는 칼리쿨라 암살후 옹립된 황제이지만, 꽤 괜찮은 운영을 했지만 역시 티베리우스처럼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일을 잘하고 인기도 얻는 것은 역시 아우구스투스나 카이사르같은 타고난 무언가가 있어야 하나보다.
유명한 네로는 너무 유명해서 다 알던 내용이긴 했지만, 몰락이 암살 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군인의 충성(임페라토르)과 원로원, 시민의 지지(제1인자)를 얻지 못하여 권한을 박탈당하게 되어서 몰락했다는 점이 로마제정의 특수성을 보여준 듯하다. 칼리쿨라와 달리 약간의 자제력만 있었다면 괜찮은 황제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네로가 아우구스투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이었고 이후부터는 핏줄이 아닌 임페라토르와 제1인자의 칭호를 얻는 자가 황제의 자리를 얻게되었지만 암살과 쿠데타 등으로 황제가 자주바뀌게 된다. 아우구스투스의 교묘한 정치로 이룩했던 균형이 깨져서일까.
그 시절에 이런 제국과 시스템을 마련했다는 점이 굉장히 놀라웠다. -- Nyxity 2006-6-1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