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하늘색 레글런 스웨터와 힙한 카드 지갑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람들은 많다. 하지만 왜 그 기법을 써야 하는지, 그 지시를 따라가면 그 부분이 나중에 어떤 모습이 되는지를 설명해주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냥 의문 갖지 말고 따라오면 완성되어 있을 것이다‘가 기본 스탠스다.
이 책은 실이 어떤 흐름으로 엮여 편물의 질감을 만들어내는지를 근본 관심사로 두고 그 안에서 여러 시도를 해보고 고민해본 오랜 베테랑 뜨개인만이 줄 수 있는 귀한 정보들이 있다. 당연한 관습도 이상히 여겨 굳이 다른 방식으로 해보고 끊임없이 새로운 도전을 한 인물. 어느 분야든 역사적으로 여겨지는 인물이 아닌가. 이 작은 뜨개 세계에서도 그런 인물이 있고, 그게 짐머만이다.
˝뜨개에 답은 없다˝는 뻔한 말, 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 뜨개인들이 그 슬로건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본 원리를 체계적이고 유기적으로 알려주어 자유의 힘을 주는 건 고난도의 일이다. 많은 사람들이 현란한 단계에 얼른 도달하기 위해 슬쩍 보고 지나치는 기본 원리를 계속 붙잡고 고민하는 사람들은 어느 분야든 별로 없는 법이다. 귀하게도, 이 책은 실의 움직임을 이야기한다.
뜨개 역시 그냥 딱 고정된 디자인으로 가는 유일한 길 하나를 별 설명 없이 도안과 영상으로 지시하듯 알려주는 게 제일 쉽다. 시키는 대로 하고, 외워라. 학교 수업처럼. 바로 답을 낼 수 있도록 수학 공식을 외우라고 하지 증명 과정을 여러 번 거듭하며 학생들을 이해시키려 하는 선생님은 없었듯이.
앞으로도 도안을 그대로 따르는 방식으로 뜨개를 할 생각이고 남의 완성품들을 뜨개할 생각이라면 이 책은 어렵고 번거롭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것을 내가 생각하는 대로 뜨고 싶은 뜨개인, 그러면서도 지난한 협회 강의에 고액을 쓸 생각은 없는 국내의 고독한 뜨개인이라면 이 책이 거의 유일한 버팀목이 되어줄 것이다.
뜨개의 개방성과 가능성에 매료된 사람, 뜨개를 거듭할수록 인생과 비슷한 면이 많다고 생각하는 뜨개인들이라면 소중한 맘으로 읽게 될 책이다. (24. 3.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