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부장에게는 끝이라는 개념, 무엇이건 시작을 하면 마무리를 지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없는 듯했다. 중간에 그만둠으로써 무책임한 가능성의 세계에 남는 데 안도하는지도 몰랐다.
"중요한 건 초보자와 아마추어인 상태로 남는 거란 말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무언가를 시작하면 끝을 보고 싶어 합니다. 그러다 완성되지 않으면 그게 포기나 실패라고 생각하죠. 그건 옳지 않습니다. 우리가 진짜 도달해야 하는 건 사실 매번 하던 걸 엎고 새로 시작함에 두려움이 없는 성실한 초보자이자 아마추어, 실패자이자 구도자인 상태를 유지하는 거다 이 말입니다. 트랙에 수많은 출발선을 긋다 보면 결국은 출발선이 결승선이 되는 것처럼 말이죠." (113) - P113

"무언가가 되려고 애쓰는 마음을 지우는 것, 취미를 쓸모로 바꾸어 유용한 무언가를 하려고 하지 않는 게 바로 아마추어 되기의 핵심이거든요. 그러니까," (113) - P113

일상적인 가학은 친절과 배려의 옷을 입고 온다고 알리스는 생각했다. 농담으로 위장한 상냥한 폭력에 대해 알리스는 알고 있었다. 알고 싶지 않은데 알게 된 것들이었다. (127) - P127

다음에 만나면 내가 밥살게라고 했던가. 기억나지 않는다. 다음은 오지 않았다. 형이 되어 가지고 이런 거밖에 못 사 줘서 미안하다. 부 감독은 또 부끄러운 얼굴로 돌아섰다. 그런 부끄러움이 많은 부 감독에게 필요한 건 다만 완전히 잊히는 일이었을 것이다. 첫 작품이 성공했고 그게 끝이었다. 애매한 명성. 모른 척하기에 첫 영광은 너무 컸고 그다음은 너무 처참했다. 익명이 될 수도 없는 어설픈 명성이 그를 점점 더 부끄럽게 했다. 그를 부끄러움에서 벗어나게 하는 건 고독사뿐이었을지도 모른다. (182) - P182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다. 쓰이지 않은 후반부에 이 신의 존재 이유가 밝혀질 수도 있었겠지만 완성되지 않았으니 영영 모를 터였다. 생각해 보면 삶도 마찬가지다. 완성되기까지는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고 도대체 왜 쓰였는지 알 수 없는 무의미한 장면들로 가득하다. 그 끝에 가면 결국은 이런 맥락에서 필요했구나, 꼭 필요한 장면이었구나 하면서 납득할 수 있게 될까? 예를 들면 지금 내가 이곳에 있는 이유도? 그러나 죽기 직전에야 밝혀지는 진실이라니. 그게 다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시나리오 하나를 완성하는 데도 수없이 수정을 거쳐야 하는 법인데. 그러니 한 번뿐인 삶이 엉망인 건 자기 탓이 아니었다. 원래 그렇게 엉망으로 살아가게 생겨 먹은 거였다. 그러니까 자책하는 대신 맛있는 거나 먹여 주며 하루 또 하루 살아 내면 되는 것이다. 엉망인 시스템 안에서도 착실하게 하루에 한 장면씩 무슨 의미가 있을지도 모를 장면들을 써 나가는 자신에게 더 많은 다정하고 단 것들을 선물해도 좋다는 이야기였다. (188) - P188

다행이야 내가 아니라서, 처음 그 말을 마음에 품은 순간, 그렇게 안전하다 믿은 이편에 서서 자신의 곁을 스쳐 간 사람들을 하나둘씩 저편으로 밀어내는 동안 고독사에 이르는 긴 여정은 이미 시작된 거였다. (224) - P224

"대체로 좋아한다고요."
서운해야 하는데 그 말이 좋았다. 생각해 보면 자신도 전규석을 완전히 좋아하는 것은 아니었다. 좋은 날도 아닌 날도 있었는데 따지고 보면 대체로 좋았다. 그렇게 여백이 있는 관계라서 오래 함께할 것 같았다. 좋지 않은 부분도 수긍하고, 그것까지 포함해서 좋음을 향해 나아가는 의지와 포용의 말로 들렸다. 그것이 이수연이 전규석과의 관계에서 오래 매달리기를 끝내지 않을 수 있는 이유였다. (256) - P25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