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이 겪는 열렬한 사랑의 감정을 당사자들의 일기와 편지로 빠짐없이 늘어놓는다. 하루에 몇번이고 바뀌는 혼란스러운 감정이 축약이나 통찰 없이 낱낱이 열거된다.
이것은 독자에게 단점으로 작용한다. 마치 짝사랑이나 사랑에 빠진 친구에게서 약간의 변주만 있을 뿐 똑같은 하소연을 매일같이 3시간씩 들어주는 꼴과 전혀 다를 바가 없기 때문이다. 빠르게 읽히는 간결한 문장도 이 무책임한 나열을 덮어주지 못한다.
자전적인 기록이라 하던데, 로셰는 개인적 자료들을 정리한 기록물을 이렇게 널리 읽혀야 할 소설이라는 형태로 출간할 필요가 있었을까? 책의 2/3을 지나면서는 인내심이 거듭 바닥을 쳤다. 그래도 이것들을 통해 무언가 말하려는 게 있겠지 하며 끝까지 읽었다만, 그 끝은 방대한 나열에 비해 너무 짧다. 뮤리엘과 앤의 성숙, 클로드의 공허함으로 넘어가는 부분은 400페이지가 넘는 이 책에서 마지막 20~30페이지밖에 되지 않는다. 기록들을 끝내고 마지막에 작가가 개입해서 마무리하려니 어쩔 줄을 모르겠어서 헐겁게 매듭을 지어버리는 느낌이다.
후반부 색다른 캐릭터인 앤의 본격적인 등장이 잠시 활기를 불어넣지만, 끊임없이 반복되는 뮤리엘의 자존심으로 가득한 이상론, 자가당착적 격정의 나열은 끝까지 책의 중심을 차지한 채 반복된다. 뮤리엘의 반복적 궤변을 시간순으로 배열해 그대로 쌓아올리기만 한 것은 통찰하지 않는 작가의 무책임함으로 느껴진다.
이러한 기록을 생생하게 모두 늘어놓는 것 역시 의미가 있지 않겠냐 하는 질문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같은 소리를 반복하는 사적인 기록물들을 빠짐없이 읽으려고 소설을 집어드는 게 아니다. 그리고 방대한 편지와 일기 속 텍스트는 정념의 전개를 섬세하고 날카롭게 그려내지도 못한다.
내가 이러한 감정의 시기를 지나서 더 냉소적일지도 모르겠다. 그럼에도 나는 로셰의 [쥴과 짐]도 읽어볼 생각이다. 생애 주기가 그 다음인 인물들의 이야기니까. 그리고 이를 영화화한 트뤼포로 인한 호기심이 아직 꽤 남아 있으니까. 하지만 기대는 낮을 것이다. (21.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