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성기담 - 근대 조선을 뒤흔든 살인 사건과 스캔들
전봉관 지음 / 살림 / 2006년 7월
평점 :
엽기적인 사건은 언제나 우리의 이목을 끈다. 식민지 시대라고 해서 다르지 않았다. 살인 사건과 저명인사들의 스캔들은 끊이지 않았고, 지금 우리는 그것을 통해 식민지 조선의 숨겨진 이면을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조선의 살인사건이 주의를 끈다. 식민지 시대라고 살인사건이 없었을 것 같지 않고 그렇다고 많았을 것 같지도 않다. 책은 조선인이 조선인을 죽인사건, 일본인이 조선인을 죽인 사건 등 4개의 살인 사건을 들려준다. 모두 잔인하고 엽기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살인 사건들이 의미 있는 이유는 따로 있다. '죽첨정'단두 유아'사건'의 경우 근대 조선과 병존했던 미신의 힘을 실감할 수 있다. 근대가 완성되었고 탈근대를 부르짖는 지금 과연 우리는 미신과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 생각해 보게 된다. '안동 가와카미 순사 살해 사건'이나 '부산 마리아 참살 사건'은 사법제도에 의해 희생당하는 조선인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사회지도층의 문란한 사생활을 들여다보면 우리가 지금까지 갖고 있던 고정관념이 깨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들은 모두 긍정적인 의미에서나 부정적인 의미에서나 그 당시 사회의 지도층이었지만 그와는 별개의 사생활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저자의 말대로 그들의 감추어진 사생활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위대한' 인물에 대해 한층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저자는 다양한 사건들을 소개하면서도 사건을 읽는 자신의 견해나 의견을 피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독자는 이 책을 단순히 식민지 시대에 있었던 엽기적인 사건을 소개하는 재미있는 책으로 읽거나, 그러한 사건들을 통해 우울했던 식민지 시대의 초상을 읽어내거나 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것이든지 나쁘지 않지만 이 책이 근대 조선을 파악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고, 대중적인 교양서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보았을 때 사건의 의미를 충분히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은 아무래도 책의 약점이 될듯하다.
저자가 들려주는 사건의 숨겨진 행간을 주의해서 살핀다면 흥미와 동시에 조선의 근대를 읽는 또 하나의 시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