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랄라 하우스
김영하 지음 / 마음산책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쓴 저자에 대해 보통 우리가 가지게 되는 이미지들. 저자가 소설이나 시를 쓴 작가라면 연신 담배를 피우며 온갖 인상을 쓰며 인간의 본성 등을 나타내려고 애쓰는것을 떠올린다. 만약 저자가 연구자라면 수많은 자료를 쌓아놓고 세상의 이면에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상상하게 될것이다. 이런 이유로 그들이 그 결과물로 내놓은 책들은 우리의 접근을 쉬 허락하지 않는다. '내가 이렇게 고생해서 쓴 작품인데, 논문인데'하며 자신의 작품을 만만하게 보려는 독자를 꾸짖는다.

 

이런 어렵고도 두려운 책들에 반기를 들고 '이 책(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한 책)은친구집에 놀러 가서 친구가 올 때까지 남의 방에서 뒹굴며 이리 뒤적 저리 뒤적 하기 좋아하는 분들을 위해 만들어졌다'라고 분명히 저자가 밝힌 책이 있다. 소설가 김영하가 그동안 미니홈피에 올린 자신의 글과 그글에 딸린 코멘트를 엮은 <랄랄라 하우스>가 바로 그 책이다.

 

제목에서 느껴지듯이 이 책은 정말 랄랄라소리가 절로 나올 정도로 유쾌하다. 자신의 집에서 함게 사는 고양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소개하기도 하고 소설을 쓰면서 생긴 뒷이야기를 소개하기도 한다. 또 작가가 그동안 겪은 재미있는 일상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는데 하나같이 웃음이 나오고 곰감이 가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이 책은 결코 한번 웃고 말 그런 재미만을 제공하는것은 아니다. 유쾌한 재미속에서도 깊이있는 사유와 날카로운 풍자가 번득인다. 예를 들어 '태극기와 실미도'라는 글에서는 실미도와 태극기 휘날리며가 가지고 있는 자본주의와 가족주의적 요소를 끄집에내기도 하고 '태극기 단상'이라는 글에서는 태극기라는 상징이 가지고 있는 국가주의적 요소와 그것이 우리에게 가지는 폭력성을 고발한다.

 

작가가 말하듯이 배깔고 엎드려 읽어도 작가에게 전혀 미안하지 않지만 책을 덮고 나서는 오히려 재미있는 글솜씨 보다는 그속에 감추어져 있는 사유가 더 생각나게 하는 책이다.

 

이 책을 다 읽고 김영하의 다른 책을 읽게 되면 전에도 읽었던 책이 더 재미있게 느껴지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아참.. 그리고 누구나 이 책을 읽으면 아~ 나도 저렇게 살고 싶다 하는 생각이 들게 될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