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이권우 지음 / 그린비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은 이제 더 이상 책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인터넷은 책보다 훨씬 빠르고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과거 책이 주었던 재미는 이제 게임, 영화 등이 대신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조심스럽게 책의 운명이 다하였다고 진단한다. 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목소리는 여전히 책의 가치를 옹호한다. 책에 대한 책이 많이 출간되는 것은 그것을 증명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같은 목적을 갖고 책을 읽는 것은 아니다. 책을 읽는 것은 그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얻는데 목적이 있다는 사람들은 '핵심만 골라 읽는 실용독서의 기술'을 주장한다. 또 다른 사람들은 책은 실용적인 목적만을 위해 읽는 것이 아니라고 비판한다. 책을 통해 인생을 풍요롭게 하고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근본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저자의 책을 대하는 태도는 분명하다. '정서적 안정과 치유로서의 책읽기'를 주장하는 부분이나 '천천히 읽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책들이 벌이는 전쟁, 겹쳐읽기' 등은 실용적인 목적만이 아니라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깊이 있는 책읽기를 권장하고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저자는 결국 이러한 책읽기가 요즘 세상에서 요구하는 창의성을 갖게 한다고 이야기한다. 공자가 결국 책을 열심히 읽어서 사회적인 성공과 함께 뜻을 이루었다고 독자들을 유혹한 다음, 결정적으로 영화 '지옥의 묵시록'과 반찬욱 감독의 '올드 보이'의 성공의 비결이 결국 책읽기에 있었다고 말하며 책을 읽는 것이 좋은 일이지만 사회가 이야기하는 성공을 이루는데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설득한다. 

저자는 책의 효용성과 제대로 읽는 방법을 독자들에게 알려주는 동시에 책일 읽는 것은 개인적인 문제일 뿐만이 아니라 제도적인 뒷바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사실 한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듯이 입시지옥을 겪으며 좋은 책을 읽는 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게다가 아직 학교 도서관 등 책을 쉽게 접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확실히 다져진 것도 아니다. 따라서 그저 책을 읽어야 한다는 주장은 듣기에만 좋은 '옳은 말씀'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학생때부터 제도적으로 책을 가까히 할 수 있게 하는 학교도서관이나 청소년도서 출판과 같은 물질적,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청소년 시기에 체계적인 책읽기 교육을 받지 못해 아직까지 많은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사람으로서 깊이 공감이 가는 부분이다. 

예전부터 가졌던 의문이 하나 있다. 한국의 청소년들은 세계에서 가장 공부를 열심히 하고 심지어는 논술까지도 공부를 따로 하는데, 대학의 강의실에서 접한 나를 포함한 학생들의 텍스트를 이해하고 토론을 하는 능력은 왜 굉장히 떨어지는 것일까. 저자에 따르면 그것은 분명히 제대로 된 책읽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저 정답을 맞추기 위한 지식노동을 했을 뿐이지 책을 읽고, 토론하고, 그것을 글로 쓰는 진정한 공부는 해본 적이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이제라도 제대로 된 공부를 하고 싶은 학생들이라면 한번쯤 반드시 읽어보길 권하고 싶다. 물론 책을 왜 읽어야 하고,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알고 싶은 모든 사람들에게 이 책은 소중한 도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