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를 상실한 노동자 비정규직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08
장귀연 지음 / 책세상 / 200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비정규직은 더 이상 노동시장에서 특수한 형태를 의미하지 않는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정규직 노동자보다 더 많아진 것이다. 그렇다면 비정규직 문제는 이제 나와 상관없는 이야기가 아니다. 노동자가 되어 임금을 벌어야 하는 것이 거의 확실하다면 비정규직은 곧 나의 현재이며, 미래인 것이다.

장귀연의 이 책은 비정규직에 대한 충실한 입문서 역할을 하고 있다. 1방에서는 노동이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종류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독자는 이제 비정규직 노동자의 문제는 곧 나의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2장에서는 신자유주의적인 시장에서 비정규직이 확대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거론한다. 노동 유연화전략이라는 이름 하에 해고가 쉬운 노동자를 찾는 기업의 입장에서 비정규직 노동은 굉장히 적절한 고용형태라는 것이다. 3장에서는 비정규직 노동자로서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다양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같은 일을 하고도 임금이 적고, 항상 해고의 위험에 시달리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나의 삶의 조건이 파괴되는 것이며, 같은 직장에서 함께 어울리면서도 다양한 조건에 있어서 차별과 무시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식자리에 어울리지 못한다거나, 직장 동료들과의 사이가 서먹하다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토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을 나누고 그들에게 보이지 않는 담을 쌓는 기업의 전략이 인간관계에 까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말해준다.

마지막 4장에서는 비정규직에 관련된 다양한 논란을 살핀다. 비정규직 문제가 정규직 노조의 이기주의 탓이라고 말하는 경제인들의 논리를 반박한다. 그렇다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하는 하도록 하는 방법과 비정규직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법 두 가지를 거론하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비정규직의 권리를 보호하는데 난점이 있다고 말한다. 근본적인 방법은 새로운 노동권의 성립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비정규직 문제는 분명히 경제적인 문제이지만 인간이 살아가는데 가장 중요한 노동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책도 비정규직의 경제적인 문제들을 객관적인 통계를 들어 설명하기 보다는 비정규직이라는 노동조건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피폐하게 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는 이제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이 책을 통해 그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면 이 책의 역할은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