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아빠와 함께 저녁 프로젝트 - 따스한 가족의 식탁으로 돌아가기 위한 아빠의 선택
카메론 스트래처 지음, 박선령 옮김 / 로그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프로젝트'로 거창하게 분류할 만큼 특별한 것이 되어버렸다. 평일 저녁, '아빠'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이 한 상에 둘러앉아 식사하는 것이. 온 가족이 저녁 무렵 저마다 앉던 자리에 앉아 하루 동안 있었던 일들을 나누며 함께 식사를 하는 것은, TV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음 직한 풍경이 되어버린 것이 어쩌면 당연한 현실일지도 모른다.

<
아빠와 함께 저녁 프로젝트>의 저자 카메론 스트래처(Cameron Stracher)는 이러한 당연한 현실에 맞서려고 큰 결심을 하게 된다. 자신의 일터로부터 벌어오는 수입의 약 50% 정도를 포기하고, 일주일 중 5일을 아내, 아들 그리고 딸과 함께 저녁식사를 하는 것에 투자하기로 한 것이다. 그는,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아내와 준비한 저녁 식사자리에 '참석'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직접 '요리'하는 것으로 프로젝트의 난이도를 한껏 높인다.

결국, 10개월의 프로젝트 수행 시간 동안 카메론 스트래처는 주당 평균 5.5회의 저녁 식사를 가족들과 함께했고, 주당 평균 2.05번 식사 준비를 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프로젝트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진행했다. <아빠와 함께 저녁 프로젝트>에는 저자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마주쳤던 어려움과 기쁨, 행복 등의 다양한 감정들을 담담하게 펼쳐나가고 있다.

온 가족이 둘러앉아 함께 저녁 식사하기를 꿈꾸는 사람들 있다면 이 책을 한 번씩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그리고 그 꿈으로부터 다시 한번 도전을 받을 수 있기를 소망해 본다.

*
카메론 스트래처의 블로그(http://dinnerwithdad.blogspot.com)를 방문하면 책에 나오지 않은 다양한 이야기들을 읽을 수 있다. 저자가 만들었던 음식의 사진, 저자에게 큰 동기 부여를 해 주었던 아들과 딸의 모습들을 엿볼 수 있어 책을 읽는 재미를 한껏 더 배가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 더 사랑해
션.정혜영 지음 / 홍성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도인으로서 평생 노력해야 할 계명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일 것이다. 이 중에서 지키기 어려운 것이 있다면, 애석하게도 ‘이웃 사랑’일 것이다. 눈에 보이는 이웃을 사랑하려면 단순히 생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행동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 정혜영 부부의 <오늘 더 사랑해>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천되어야 하는지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는 책이다. 션을 통해 정혜영이 하나님을 알아 가고, 하나님의 관점에서 삶을 바라보는 과정, 그렇게 알아간 하나님의 사랑을 바탕으로 다른 이들을 구체적으로 도와가는 과정이 따스한 사진과 함께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부부간의 진실한 사랑이 무엇인지, 부모와 자녀 간의 따스한 사랑이 무엇인지 책을 읽다 보면 깨닫는 것과 동시에 그들의 삶이 부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 안에서 건강한 사랑을 나누는 가족과 그 가족이 사랑을 주변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모습은 분명히 이 시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좋은 모델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천덕 자서전 믿음의 글들 167
양혜원 / 홍성사 / 199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강원도 태백 산골에 자리 잡은 ‘예수원’. 예수원 입구에는 한 사람의 작은 추모비가 있다. 바로 예수원의 설립자인 대천덕(미국명 Reuben Archer Torrey 3) 신부의 추모비이다. 예수원 안에는 대천덕 신부의 작은 묘가 있기도 하다. 벽안의 미국인이 왜 한국의 강원도 태백 산골에 묻혀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는 책이 바로 <대천덕 자서전>이다.


먼 이국 땅에서 이국의 문화를 존중하며 영성과 성경적 공의를 강조하며 몸소 실천하며 평생을 보낸 큰 키의 미국인 신부 대천덕. 이 책은 건강이 악화되어 책읽기와 글쓰기를 중심으로 생활 수밖에 없었던, 노인이 된 대천덕 신부가 자신의 일생을 돌아보며 잔잔하게 적어나간 자신의 이야기이다.


때론 골칫덩이 말썽꾸러기였고, 때론 지독한 반항이기도 했던 그가, 무엇 때문에 먼 낯선 땅에 들어와 평생을 겸손과 사랑으로 다른 이들을 섬기는 삶을 살게 되었는지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레 이해할 수밖에 없게 된다.


자신이 아는 바를 삶으로 실천했던 대천덕 신부. 작은 자서전 하나로 그의 삶을 모두 이해할 수 없지만, 한평생 스스로 책임질 수 있는 삶을 살아간 그 정신 하나만큼은 이 책을 읽는 이로 하여금 그를 절로 존경하게끔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활여행자 - 일상에 안착하지 못하여 생활이 곧 여행이 되어버린 자의 이야기
유성용 지음 / 갤리온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왕왕 일상적인 시간이 갑자기 낯설게 느껴지는 순간을 겪곤 한다. 일상, 곧 생활의 주인이라고 생각했던 나 자신이 철저하게 ‘타자’ 혹은 ‘이방인’이 되는 순간일 것이다.


유성용의 <생활여행자>에서는 일상의 시간과 공간이 ‘타자’의 삶으로 점철된 순간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안착할 수 없는 일상 속에서 부유할 수밖에 없는, 여행자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일상을 살아가는 생활인에게는 모든 삶의 순간들이 낯설지 않지만, 그 일상의 일부를 경험하는 이에게는 그 모든 것이 낯선 것이 되듯, ‘생활여행자’로서 겪는 일상의 생경함이 바로 이 책에 녹아있다.


어떤 면에서는 익숙한 일상을 살아가는 생활인으로서의 우리 삶이, 한편으로 행복의 길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 주는 책인지도 모르겠다. 부재를 통해서 존재의 소중함을 깨닫는 평범한 진리가 이 책에 고스란히 베어 있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게 남은 1%의 가치 - 세계밀알 총재 이재서 교수의 꿈과 끈기의 여정기
이재서 지음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꿈’은 분명히 현실의 조건과 환경을 뛰어넘는다. 여기 자신이 처한 환경과 조건을 뛰어넘어 ‘꿈’을 꾸었고, 그 꿈을 일관 되게 유지하여 마침내 꿈을 이룬 한 사람의 이야기가 있다. 바로 이재서 교수의 <내게 남은 1%의 가치>이다.


하나님을 만나게 되고, 하나님 안에서 ‘밀알 선교단’을 세우게 되며, 한국에 머무는 밀알 선교단이 아니라 세계를 향한 밀알 선교단을 꿈꾸었던 한 시각장애인. 그 시각장애인이 처음 그 마음에 품었던 세계를 향한 밀알 선교단은 오랜 시간 끝에 현실로 바뀌었다. 그 가운데 하나님이 이끄신 놀라운 삶의 여정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람에게 남은 1%의 가치는 곧, 하나님께서 사용하시는 99%의 가치를 의미한다. <내게 남은 1%의 가치>는 하나님 안에서 꿈을 발견하고, 그 꿈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신뢰하며 삶을 살아가고자 하는 이들에게 큰 자극과 동기 그리고 격려를 줄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