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죽음 - 전2권 세트 - 법의관 케이 스카페타 시리즈
퍼트리샤 콘웰 지음, 홍성영 옮김 / 노블하우스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내친김에 법의관 후 콘웰을 바로 들었다.

사건 현장에 남겨진 섬유 한 올,집안에 진열된 술병 위에 먼지 두께,타버린 종이 재,소화가 정지된 위 속의 음식물...어떤 것이 의미가 있고 어떤 것이 사건과 별개의 소재들인지 변별해 내는 능력이 감탄스럽다. 현상만을 보고 사람의 행동 반경,환경,행위의 순서를 꿰어가니,나의 물건들은 나를 어떻게 대변해줄까. 

콘웰은 첨단 기기의 도움으로 사실에 접근해 간다. 허나 소설 속에선 휴대전화나 인터넷이 보편화되지 않은 시기로 지금보다 10년 전쯤으로 짐작된다. (초기작 두 편으로 미루어 ) 콜린 덱스터의 소설은 더욱 거슬러 올라가는 듯하다. 콜린 덱스터는 현미경이나 DNA분석 같은 기술 없이 순전히 범죄 동기나 시간의 재구성등 발품 팔아 누덕 누덕 기워낸다. 기껏해야 혈액형이나 범행 현장에 떨어져 있는 단추나 모자 정도...서로 얽혀 있는 이해 관계 속에 범죄 동기가 선명한 해답을 내준다. 그래서 콜린 덱스터를 덮을 즈음엔 개운하게 기지개를 주욱 펴곤 했다.

콘웰을 읽을 땐, 결말에 가까워올 수록 초조했다. 남아 있는 분량은 10여 페이지도 안되는데, 결론은 나오는 거 같고 결국 마지막 장을 덮으면서도 남은 표지를 뒤적이게 된다.  이 찜찜함은 현재 우리가 사는 시대가 재수 없이 걸려들어 사건에 연류되는,동기 없는 범죄를 발생하는 거친 세상에 살고 있음을 탓해야 할까, 아님 콘웰의 글쓰기에 책임을 지워야할까.

증거들이 법의관보다 좀 더 넓은 공간에 흩뿌려진듯 했고,그 입자는 더욱 작아졌다. 훨씬 재미있었는데,역시 의외성의 결론은 나에게 허탈과 더불어 범죄 동기에대한 허기는 남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