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풍자극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삶을 고요히 마무리하고자 네이선이 브루클린을 선택한 이유는 "그곳이 뉴욕이면서도 뉴욕이 아니라는 점"  

 안타깝게도 뿌듯한 감회를 느낄만큼 삶을 견실하지 쓰지 못한 우리의 네이선. 초반  다분히 냉소적인 목소리로 이야기를 풀어 가기에  건조하고 차분함이 너무 과하다 싶다.  조카 톰이 문학과 작가에대한 박식함을 비칠 때는 문학 강의를 듣는 것같아 노트필기를 해야 할 것 같은 분위기였다.  그래도 여전히 절대 흥분하거나 격앙되지 않는 느릿느릿 그리고 안정된 목소리다. 

 삶을 정리하고자 브루클린에 온 그는 오히려 그곳에서 본인의 진가를 십분 발휘하는 삶을 풀어 낸다.  그의 과거의 이야기보다 브루클린에 오고나서 그가 냉큼냉큼 해결해 내는 이야기가 훨씬 흥미로운 것은 당연지사.   헤리의 문제를 전화 한 통으로 해결할때는 너무나 후련..  거의 한 페이지를 담당한 만만찮은 길이의 긴 문장이었건만 한 호흡으로 휘리릭 읽어 냈으니 이는 작가의 역량인가 번역가의 공로인가 잠시 골몰... 중반 이후로 갈 수록 네이선은 정말 믿음직한 외삼촌이며 근사한 협객으로까지 그 활약을 펼친다.  

 가끔 장난끼 섞인 목소리로 화자에게 말을 거는 것도 귀엽다.  앞으로 아연실색할 어마어마한 일이 벌어 질거라고 미리 귀뜸을 해주기에 그 충격을 가볍게 흡수하고자  나름 대비를 하고 기다리기 몇 번.  허나 막상 맞딱뜨린 건 뭐 그리 호들갑떨만한 큰 폭탄은 아니었기에 김이 솨아 빠지기도 몇 번.  사람마다 고통 체감지수가 천차만별이니 그를 탓하진 않는다.  그런데 난 이런 종류의 암시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경험한 바로는 대부분 그 암시들은 암시를 한 순간 공수표 비스무리하게 변색되기 일쑤다. 감도가 떨어지는 거지.  그냥 '어머 어머'  '세상에나'를 흘리며 나 혼자 충격들을 감내하게 놔줬으면 좋겠다.

 브푸클린에서의 종횡무진이  젊었을적 후회스런 시간의 더께를 덜어냈기를 바란다.  충분히 잘 해 주셨어요. 네이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