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계기로 살인적이고 불합리한 세계 경제 질서가 기아의 분명한 주범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 늘어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유럽의 국가들은 자국의 농업을 부양하기 위해 자국내 농업생산을 장려하고 수출을 보조하는 정책을 편다.이 정책이 인접 가난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굶주림을 초래한다. 유럽지역 각국가들의 농업 생산량이 국내에서 소비되고도 남을 정도로 과잉 생산되니 외국에 덤핑 판매를 한다. 가난한 국가의 국민들은 비싼 국내 농산물 대신 당연히 반값 가까운 저렴한 유럽산 농산물을 구입한다. 아프리카 농장에선 온가족이 15시간씩 일하지만 최저생계수준에도 못미친다.그들의 농업은 유럽연합에 의해 체계적으로 파괴되는 것이다.

국제원조는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각국이 자급자족 경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이룩하는 것 외에는 진정한 방법이 없는데,이런 시도로인해 위기감을 느끼고 그들의 개혁 시도를 방해하고 위협하고 살인까지 서슴치 않는 이들이 바로 경제합리성,이윤극대화만을 최고 가치로 맹신하는 미국 프랑스등 세계 선두에 있는 국가들이다.이들에겐 만연한 부패,외국에대한 극단적인 의존,만성적 기아,신식민주의적 수탈과 멸시,방만한 국가재정,기생적 관료,절망하는 농민들이 사라져서는 안되는 것이다.저소득 국가들의 개혁정책으로인해 자신들이 누린 기존의 특권들이 침해당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1970년 칠레 아옌데 대통령은 15세 이하의 모든 어린이에게 매일 하루 0.5리터의 분유를 무상 제공한다는 공약을 지키려고 했지만 미국정부와 네슬레를 축으로 하는 다국적 기업에 의해서 고립되고 결국 대통령궁를 급습한 미국CIA와 구테타군부에 의해 살해 당했다.그리고 아옌데 정권이 들어서기 전처럼 수만 명의 아이들이 다시 영양실조와 배고픔에 시달리게 되었다.칠레가 외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칠레의 자립성을 높이고 국내적으로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아옌데 정권의 개혁정책이 제대로 추진되면 맘대로 휘둘렀던 미국의 특권도 사라지지기 때문이다.

서아프리카 사하라 남단의 작은 국가 부르키나파소라는 나라에 상카라 대위도 혁신적인 개혁정책을 시도했으나 살해 당했다. 진정 믿기 힘들지만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세계를 움직이는 참혹하고 파렴치한 질서다.

 

인간은 인간의 고통을 공감하고 연대할 수 있다는 희망, 정의에 대한 인간의 불굴의 의지만이 희망이며 해답임을 강조하고 있다.

파블로 네루다는 그것을 이렇게 표현하였다

그들은 모든 꽃들을 꺾어 버릴 수는 있지만 결코 봄을 지배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